- 발음
- [말ː가타

- 활용
- 말개[말ː개



- 품사
- 「형용사」
- 「001」산뜻하게 맑다.
- 하늘이 말갛게 개다.
- 흰 타일을 붙인 풀장의 바닥은 속 깊은 데까지 말갛게 비치고 있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맬겋다(강원), 말감-하다(경남), 맬갛다(경남), 말겋다(전남, 중국 길림성), 맬강-코(전남, 충북), 맬금-허다(전남), 몰가-하다(전남), 말거다(전라), 말강-하다(제주), 말가다(평북, 중국 요령성)
- 옛말
- 말가다
역사 정보
말갛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말갛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말갛-’는 “맑다”의 의미인 ‘*맑다’와 접미사 ‘-앟-’이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말갛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확인되지만, 15세기 문헌에서 ‘말갛-’과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된 ‘말가히’가(善心이 오면 안존 고대셔 {말가히} 보리니 ≪1459 월석 8:1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15세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형용사 ‘말갛다’와 부사 ‘말가히’가 나타나는 시기가 이처럼 차이가 있는 것은 문헌상의 제약으로 볼 가능성이 높다. 15세기에 “맑다”의 의미로 쓰인 단어는 ‘다’이며, ‘*맑다’는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15세기에 ‘*맑다’와 ‘다’가 공존한 것인지, 아니면 ‘*맑다’는 ‘말갛다, 말가히’와 같은 파생어 내부에서만 존재했는지는 알기 어렵다. |
---|---|
이형태/이표기 | 말갛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