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멀ː거타발음 듣기]
활용
멀게[멀ː게발음 듣기], 멀거니[멀ː거니발음 듣기], 멀겋소[멀ː거쏘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깨끗하게 맑지 아니하고 약간 흐린 듯하다.
개울물이 멀겋다.
개숫물 통에다 머리를 처박고 노란 소금물인지 위액인지 모를 멀건 거품을 연방 토악질해 낸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겉으로 나타난 생채기는 별로 크지 않은 것 같은데, 살갗 속에서 손바닥만한 피멍이 멀겋게 비쳐 보였다.≪한승원, 해일≫
천장 높이에는 여전히 멀겋게 전등 하나가 켜져 있다.≪이호철, 문≫
기적이라고 할 만큼 이상한 것은, 분통이가 아기를 틀 때부터, 멀겋던 하늘에 별안간 매지구름이 모여들더니, 순산을 하기가 바쁘게 창대 같은 비가 쏟아지기 시작했다.≪김정한, 축생도≫

역사 정보

멀거다(17세기~18세기)>멀겋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멀겋다’의 옛말인 ‘멀거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멀거ᄒᆞ다’는 형용사 ‘믉-’에 ‘-어 ᄒᆞ-’가 결합한 것으로, 형용사에 ‘-아/어 ᄒᆞ-’가 결합할 때 1음절의 모음 ‘ㅡ’가 ‘ㅓ’로 나타나는 현상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에 ‘멀거다’의 제3음절 모음 ‘ㆍ’가 탈락하고 제3음절 초성 ‘ㅎ’이 제2음절 종성으로 변화한 ‘멀겋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멀거다, 멀겋다
세기별 용례
17세기 : (멀거다)
귿티 두렫고 빋나 멀거야 진쥬 니 됴니라 ≪1608 언두 상:15ㄱ
18세기 : (멀거다, 멀겋다)
젼 후 일과 쳔디간 만믈을 다 멀거케 안다 시니라 ≪1776 염보-해 5ㄴ
멀거니 보고 능히 답지 못면 다 사이 우리 므슴 사이라 여 보리오 ≪1765 청노 1:7ㄴ
19세기 : (멀겋다)
멀건 물 無味水 淡水 ≪1895 국한 11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