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만큼

- 품사
- 「의존 명사」
- 「001」((주로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임을 나타내는 말.
-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다.
- 주는 만큼 받아 오다.
- 방 안은 숨소리가 들릴 만큼 조용했다.
- 선창 거리가 북적거리는 만큼, 개항지 목포를 찾아드는 이주민들도 날마다 불어났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바람이 몹시 휘몰아치고 있었으므로 얼굴을 들 수 없을 만큼 대기는 차가웠다.≪김용성, 리빠똥 장군≫
- 사실을 말하자면 나는 지금, 아주 조금, 나만이 눈치챌 만큼, 흥분되어 있는 상태다.≪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 허비하는 게 아니니까 집이란 돈 넣은 만큼, 팔 때도 그 값 지니고 있는 거야. 잘 지어.≪박경리, 토지≫
- 보상금이 많이 나가는 만큼 간부직들의 책임은 그만큼 무거워지기 마련이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맛감(15세기~17세기)/마곰(15세기~17세기)>마콤(17세기)>만콤(17세기~19세기)>만큼(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만큼’의 옛말인 ‘맛감’과 ‘마곰’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맛감’은 “만큼”의 의미인 ‘마’와 관형격 조사 ‘ㅅ’가 결합한 ‘맛’에 “씩”의 의미인 ‘감’이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맛감’은 17세기 문헌까지만 확인되며, 그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마곰’은 “만큼”의 의미인 ‘마’와 “씩”의 의미인 ‘곰’이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는 ‘마곰’의 제2음절 초성 ‘ㄱ’이 유기음화된 ‘마콤’이 나타난다. 그 이후 ‘마콤’에 제1음절 종성 ‘ㄴ’이 추가된 ‘만콤’으로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만콤’은 17세기와 18세기 문헌에서는 확인되지 않지만, 19세기 문헌에서 확인된다. ‘만콤’은 다시 제2음절 모음 ‘ㅗ’가 ‘ㅡ’로 변화하여 18세기에 ‘만큼’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마큼’은 ‘마콤’의 제2음절 모음 ‘ㅗ’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맛감, 마곰, 마콤, 만큼, 만콤, 마큼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