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자주

- 품사
- 「부사」
- 「001」같은 일을 잇따라 잦게.
- 자주 일어나는 일.
- 자주 드나드는 곳.
- 머리를 자주 감다.
-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다.
- 차가 자주 고장 난다.
- 자주 찾아뵙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 거리에 외국인이 자주 눈에 띈다.
- 자주는 못 오지만 한 달에 한 번은 들를 수 있을 겁니다.
- 신문에 자주 나오는 한자는 따로 모아 몇 번씩 써 보면 쉽게 익힐 수 있다.
- 그가 그토록 자주, 그리고 그처럼 많은 범죄를 저질렀던 것은 그들에게 체포당할 기회를 스스로 주고 있는 셈이었다.≪최인호, 지구인≫
- 집에 목욕탕이 없었으므로 그녀는 욕탕에 자주 갈 수 없어 꼭꼭 방에서 큰 자배기를 놓고 씻었었다.≪이정환, 샛강≫
- 그렇게 말할 때 상필은 보다 실감 있어 보이게 하고자 두 손으론 제스처를 자주 썼고, 목덜미엔 굵은 힘줄을 세워 자기 피가 꿈틀거리고 있다는 걸 확인시키곤 했다.≪이문구, 장한몽≫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조(15세기~19세기)>자조(18세기~19세기)>자주(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자주’의 옛말인 ‘조’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조’는 형용사 어간 ‘-’에 부사파생접미사 ‘-오’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는 ‘자조’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뀌어 19세기에 ‘자주’ 형태가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조, 자조, 자주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