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일찍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일정한 시간보다 이르게.
일찍 귀가하다.
일찍 일어나다.
그는 부모를 일찍 여의었다.
그는 조금 더 일찍 서둘러 아버지의 곁으로 돌아오지 못했던 것을 뼈저리게 탄식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나는 다음 날 아침 일찍 기침을 컹컹 해대면서 형들의 아지트인 그 건물을 찾아갔다.≪김용성, 도둑 일기≫
12월 중순의 어느 날 아침 일찍, 준규와 태영은 일행 8명을 데리고 거림골로 향했다.≪이병주, 지리산≫
일을 훨씬 서두른 바람에 여느 날보다는 거의 한 시간가량이나 일찍 가게까지 내려갔다.≪이청준, 잔인한 도시≫
영광 민란 소식이 전해지자 고부 농민군들은 사기가 충천했다. 아침 일찍 거기 갔던 오거무가 부리나케 달려와 소식을 전했던 것이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일즉(15세기~19세기)>일쯕(15세기~18세기)>일찍(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일찍’의 옛말인 ‘일즉’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에 제2음절의 첫소리 ‘ㅈ’가 된소리로 바뀐 ‘일쯕’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19세기까지 ‘일즉’과 ‘일쯕’이 공존하였다. 19세기에 ‘ㅅ, ㅈ, ㅊ’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변하는 전설모음화가 일어났는데, ‘일쯕’ 또한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리하여 20세기에 전설모음화를 경험한 ‘일찍’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일즉, 일쯕, 일즙, 일즛, 일, 일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일즉, 일쯕)
大王아 네 일즉 업디 아니야셔 엇뎨 업수믈 아다 ≪1461 능엄 2:4ㄴ
걋 智 두디 아니커시니 엇뎨 일쯕 衆生 濟度시리오 ≪1464 금강 19ㄴ≫
16세기 : (일즉, 일쯕, 일즙, 일즛)
님 일즉 아니 셔울  갑시 엇더고 ≪1510년대 번노 상:8ㄴ
子ㅣ 샤 束脩 行 이로브터  우흔 내 일쯕 침이 업디 아니호라 ≪1590 논언 2:16ㄱ≫
내 아 지달다니 오 닛고 일즙 지달디 아니호라 ≪1510년대 번노 상:46ㄱ
아모  현 잿 얼운이라 고 일즛 잠도  브르디 아니더니 ≪1518 번소 9:81ㄱ
17세기 : (일즉, 일, 일즙, 일즛)
뎐복뇽은 평양부 사이라 일즉 아비 죽거 어미 황시 셤기되 ≪1617 동신속 효5:21ㄴ≫
오 일에 내 다 고 아 이 보라 가 ≪1677 박언 하:55ㄱ
일즙 멀리 가 믈 긷기 근심더니 ≪1617 동신속 효5:22ㄴ≫
엇디 일즛 何曾 ≪1657 어록-초 11ㄱ
18세기 : (일즉, 일즙, 일)
믈읏 희롱엣 우음과 야쇽고 샹된 말 일즉 입에 내디 아니며 ≪1737 어내 1:23ㄱ
일즙 보지 못엿니 이 이 本 病 잇다 ≪1790 몽노 6:1ㄱ
일 病 드르샤 甚히 위더시니 ≪1737 어내 2:59ㄱ
19세기 : (일즉, 일)
네가 무 단슈리니 일즉 착 일을 힘라 ≪1876 남궁 6ㄱ
일 일즉 早 ≪1880 한불 4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