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뽑따

- 활용
- 뽑아[뽀바



- 품사/문형
- 「동사」 【…에서 …을】
- 「001」박힌 것을 잡아당기어 빼내다.
- 밭에서 풀을 뽑다.
- 어머니는 아버지의 머리에서 흰 머리카락을 뽑으면서, 세월 타령을 하셨다.
- 치과에 가서 사랑니를 뽑았다.
- 김범우는 느린 동작으로 담뱃갑을 꺼내 한 개비를 뽑고 나서 염상구에게 내밀었다.≪조정래, 태백산맥≫
- 허리에서 금장도를 뽑아서 휙 재영이의 앞으로 내어 던졌다.≪김동인, 젊은 그들≫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뽑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뽑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의 ‘ㅽ’의 음가에 대하여 15세기에는 ‘ㅅ’, ‘ㅂ’이 모두 발음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고, ‘ㅂ’의 된소리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렇지만 16세기 이후의 ‘ㅽ’은 ‘ㅂ’의 된소리로 발음되었다고 볼 수 있다. 18세기 말 이후 ‘ㅂ’의 된소리를 오늘날과 같이 ‘ㅃ’으로 표기하여 19세기부터 ‘뽑다’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뽑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