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빼ː다발음 듣기]
활용
빼어[빼어](빼[빼ː발음 듣기]), 빼니[빼ː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서 …을】
「001」속에 들어 있거나 끼여 있거나, 박혀 있는 것을 밖으로 나오게 하다.
목구멍에서 가시를 빼다.
책꽂이에서 책을 빼다.
주머니에서 손을 빼다.
강도는 칼을 빼어 달려들었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박다, 뽑다
옛말
-다, 다

역사 정보

다/다(15세기)>히다(16세기~18세기)>빼이다(17세기)>빼다(19세기)

설명 현대 국어 ‘빼다’의 옛말인 ‘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ㆅ’이 15세기에 곧바로 소멸되자 ‘히다/히다’로 나타났을 것으로 보이나 문헌에는 16세기에 ‘히다’만 보인다. ‘히다’는 둘째 음절의 ‘ㅎ’이 탈락하고, 첫음절의 ‘ㅽ’이 ‘ㅃ’으로 표기되면서 ‘빼이다’로 쓰였으며, ‘빼이다’의 둘째 음절 ‘이’가 탈락되면서 ‘빼가’가 형성되었다. ‘히’나 ‘이’가 완전히 탈락한 ‘다’는 17세기부터 보이기 시작하나 활발하게 쓰인 것은 19세기일 것으로 생각되며 이 어형이 현대 맞춤법에 따라 ‘빼다’가 되었다. 15세기의 ‘다/다’는 현대 국어의 ‘빼다’로 정착되기까지 많은 이표기를 보이는데 먼저 15세기부터 ‘다’와 ‘다’가 공존하였으며 첫음절의 ‘’와 ‘’의 관계는 어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19세기까지 공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히다/히다’의 둘째 음절 ‘히’는 ‘ㅎ’이 탈락한 ‘이’로 쓰였는데 문헌에서는 ‘이다’는 보이지 않고 ‘이다’만 보인다. ‘티다’는 ‘히다’의 ‘히’ 대신에 ‘티’가 쓰였을 가능성도 있으나 ‘-’에 강세 접미사 ‘-티-’가 붙은 것일 수도 있다.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빼이다’는 ‘ㅃ’과 같은 각자 병서를 비교적 이른 용례인데 17세기에도 문헌에 따라서는 ‘ㅃ’과 같은 각자 병서를 쓰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다, 히다, 히다, 티다, 이다, 다, 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다)
天帝釋이 그 사  忉利天에 가아 塔 일어 供養더라 ≪1447 석상 3:14ㄱ
그 나못 불휘  그우리 부러 가지 것 비쳐 ≪1447 석상 6:30ㄴ
16세기 : (히다, 티다, 이다)
다시 사 혀 외오디 몯야도 ≪1510년대 번노 상:3ㄴ
틸 발 ≪1576 신합 하:11ㄱ
도적이 노야 칼을 야 옷 버라 지즌대 ≪1581 속삼-중 충:1ㄱ
17세기 : (히다, 히다, 이다, 다, 티다, 빼이다)
뎌긔 고티라 가 임의셔 굽에 피 히리라1677 박언 상:38ㄴ
그 듕에 나흘 혀 히니 뉜고 야 ≪1670 노언 상:4ㄱ
김시 발분야 짓고 찬 바 칼을 여 그 가을 디대 ≪1617 동신속 열3:1ㄴ≫
거즏 도미 죄로 두 누 고 예 두어 믈의 우고 ≪1617 동삼 열1ㄱ≫
김시 칼을 텨 스스로 멱 디니 ≪1617 동신속 열4:8ㄴ≫
손으로 쟈근 칼 빼여 목을 딜러 피 흘려 주그매 ≪1617 동신속 열4:23ㄴ≫
18세기 : (히다, 히다, 빼히다)
그 즁에 히니 뉜고 여 ≪1763 노신 1:5ㄱ
내 이믜셔 뎌의 져근 칼을다가 히고  붓스로다가 뎌의 面上에 그려 ≪1765 박신 2:52ㄴ
姜后ㅣ 빈혀 빼히고 妃妾 치디 몯 罪 기리고 ≪1737 여사 3:57ㄱ
19세기 : (히다, 다, 다, 빼다)
과연 장원의 히고 벼이 소보 대학의 니르니라 ≪1867 남궁 14ㄱ
다다1880 한불 312
텬쥬ㅣ 모든 죄악의 뿔희 빼고져 시매 ≪1883 진교 12ㄴ

관용구·속담(2)

관용구빼다(가) 박다
모양이나 상황 따위가 비슷하다.
  • 그녀는 자신의 어머니를 빼다가 박았습니다.
  • 수사관은 이번 사건이 3년 전 사건을 빼다 박았다고 파악하고 수사를 시작했다.
관용구빼도 박도 못하다
일이 몹시 난처하게 되어 그대로 할 수도 그만둘 수도 없다.
  • 한 번 두 번 도박을 하다 보면 거기에 미쳐서 빼도 박도 못하게 되기 쉽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