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빼ː다

- 활용
- 빼어[빼어](빼[빼ː


- 품사/문형
- 「동사」 【…에서 …을】
- 「001」속에 들어 있거나 끼여 있거나, 박혀 있는 것을 밖으로 나오게 하다.
- 목구멍에서 가시를 빼다.
- 책꽂이에서 책을 빼다.
- 주머니에서 손을 빼다.
- 강도는 칼을 빼어 달려들었다.
역사 정보
다/다(15세기)>히다(16세기~18세기)>빼이다(17세기)>빼다(19세기)
설명 | 현대 국어 ‘빼다’의 옛말인 ‘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ㆅ’이 15세기에 곧바로 소멸되자 ‘히다/히다’로 나타났을 것으로 보이나 문헌에는 16세기에 ‘히다’만 보인다. ‘히다’는 둘째 음절의 ‘ㅎ’이 탈락하고, 첫음절의 ‘ㅽ’이 ‘ㅃ’으로 표기되면서 ‘빼이다’로 쓰였으며, ‘빼이다’의 둘째 음절 ‘이’가 탈락되면서 ‘빼가’가 형성되었다. ‘히’나 ‘이’가 완전히 탈락한 ‘다’는 17세기부터 보이기 시작하나 활발하게 쓰인 것은 19세기일 것으로 생각되며 이 어형이 현대 맞춤법에 따라 ‘빼다’가 되었다. 15세기의 ‘다/다’는 현대 국어의 ‘빼다’로 정착되기까지 많은 이표기를 보이는데 먼저 15세기부터 ‘다’와 ‘다’가 공존하였으며 첫음절의 ‘’와 ‘’의 관계는 어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19세기까지 공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히다/히다’의 둘째 음절 ‘히’는 ‘ㅎ’이 탈락한 ‘이’로 쓰였는데 문헌에서는 ‘이다’는 보이지 않고 ‘이다’만 보인다. ‘티다’는 ‘히다’의 ‘히’ 대신에 ‘티’가 쓰였을 가능성도 있으나 ‘-’에 강세 접미사 ‘-티-’가 붙은 것일 수도 있다.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빼이다’는 ‘ㅃ’과 같은 각자 병서를 비교적 이른 용례인데 17세기에도 문헌에 따라서는 ‘ㅃ’과 같은 각자 병서를 쓰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히다, 히다, 티다, 이다, 다, 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