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잠기다

- 활용
- 잠기어[잠기어


- 품사/문형
- 「동사」 【…에】
- 「005」물속에 물체가 넣어지거나 가라앉게 되다. ‘잠그다’의 피동사.
- 배가 물에 잠기다.
- 지난번 홍수에 고향 땅이 물에 잠겼다.
- 조상의 무덤이 봇물에 잠기게 된 사람들마저 입을 굳게 다물고들 있었다.≪이문구, 해벽≫
- 기우뚱 물속에 잠겼던 배의 이물이 불쑥 솟구쳤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그 수렁에 허리가 잠기고 바야흐로 가슴이 잠기고 있는 듯싶었다.≪한승원, 해일≫
역사 정보
기다(15세기~19세기)>잠기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잠기다’의 옛말인 ‘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기다’는 ‘잠그다02’의 옛말인 ‘다’의 이형태 ‘-’에 피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기다‘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19세기에 현대 국어와 같은 ‘잠기다’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중세 국어 시기에는 ‘-, -, -’이 “잠그다”의 의미 외에 “잠기다”의 의미를 함께 지니고 있었고, 또한 ‘잠기다’와 의미가 동일한 ‘다’도 존재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기다, 잠기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