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생가카다

- 활용
- 생각하여[생가카여](생각해[생가캐]), 생각하니[생가카니]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을’ 대신에 ‘…에 대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다.
- 사고의 원인을 생각하다.
- 인생에 대하여 생각하다.
- 아무리 생각해도 형에게 내가 너무한 것 같다.
-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 나는 영자를 구해 내기 위해서 현장을 돌아보며 세밀한 작전을 생각하고 있었다.≪조선작, 영자의 전성시대≫
- 나는 사랑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어.≪박완서, 도시의 흉년≫
- 병직이가 산을 생각하고 예술을 생각하고 하는 마음의 여유를 가졌던 것도, 기실 기껏 한 주일밖에 더 못 되었다.≪주요섭, 미완성≫
- 수양의 수단으로, 약간의 필요성 때문에, 혹은 호기심 때문에 종교를 생각하는 남편 조용하와 자기 자신의 차이점이 어떤 것인가를 명희는 생각한다.≪박경리, 토지≫
- 이토록 단순 조잡한 이치로 공산당을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니?≪선우휘, 사도행전≫
역사 정보
각다(15세기~16세기)>각다(16세기~19세기)>생각다(19세기)>생각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생각하다’의 옛말인 ‘각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 무렵부터 표기에서 ‘ㆁ’ 대신 ‘ㅇ’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16세기 후반에는 ‘각다’로 표기되었다. ‘각다’는 무성파열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각고, 각디’ 등과 같이 ‘--’가 생략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근대국어 시기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이중모음 ‘ㆎ’도 ‘ㅐ’와 소리가 같아지고, 또한 18세기 말~19세기 초에 이중모음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여 19세기에는 ‘생각다’ 형태가 나타났다. 현대 국어에서는 ‘ㆍ’를 표기에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생각하다’가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각-, 각-, 각-, 각-, 생각-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