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생가카다발음 듣기]
활용
생각하여[생가카여](생각해[생가캐]), 생각하니[생가카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을’ 대신에 ‘…에 대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다.
사고의 원인을 생각하다.
인생에 대하여 생각하다.
아무리 생각해도 형에게 내가 너무한 것 같다.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나는 영자를 구해 내기 위해서 현장을 돌아보며 세밀한 작전을 생각하고 있었다.≪조선작, 영자의 전성시대≫
나는 사랑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어.≪박완서, 도시의 흉년≫
병직이가 산을 생각하고 예술을 생각하고 하는 마음의 여유를 가졌던 것도, 기실 기껏 한 주일밖에 더 못 되었다.≪주요섭, 미완성≫
수양의 수단으로, 약간의 필요성 때문에, 혹은 호기심 때문에 종교를 생각하는 남편 조용하와 자기 자신의 차이점이 어떤 것인가를 명희는 생각한다.≪박경리, 토지≫
이토록 단순 조잡한 이치로 공산당을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니?≪선우휘, 사도행전≫

역사 정보

각다(15세기~16세기)>각다(16세기~19세기)>생각다(19세기)>생각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생각하다’의 옛말인 ‘각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 무렵부터 표기에서 ‘ㆁ’ 대신 ‘ㅇ’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16세기 후반에는 ‘각다’로 표기되었다. ‘각다’는 무성파열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각고, 각디’ 등과 같이 ‘--’가 생략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근대국어 시기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이중모음 ‘ㆎ’도 ‘ㅐ’와 소리가 같아지고, 또한 18세기 말~19세기 초에 이중모음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여 19세기에는 ‘생각다’ 형태가 나타났다. 현대 국어에서는 ‘ㆍ’를 표기에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생각하다’가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각-, 각-, 각-, 각-, 생각-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각-, 각-)
惡趣예 이셔도 뎌 如來ㅅ 일후믈 잠 각면 즉자히 뎌셔 업서 도로 人間애 나아 ≪1447 석상 9:12ㄴ
이 跋提 지븨 이 젯 五欲 각고 그 구니 ≪1459 월석 7:5ㄱ
네 本願에 行던 道 각게 호려 야 ≪1459 월석 12:6ㄱ
16세기 : (각-, 각-, 각-)
내 어제 그르 각돗더라 오 다시 각니 三十里 남즈기 잇 히로다 ≪1510년대 번노 상:59ㄴ
오직 희롱엣 말을 즐기고 녯 도리를 각디 아니야 사 어디롬으란 듣고 믜여며 ≪1588 소언 5:17ㄴ
봄과  祭祀야 시졀로  각게 니라 ≪1590 효언 26ㄱ
17세기 : (각-, 각-)
식  겨집이 음식 슬허 거든 오직 제 각 거슬 머기면 반시 됸니라 ≪1608 언태 13ㄱ
내 아직 뎌 金罍옛 거 브어  기리 각디 아니호리라 ≪1613 시언 4ㄱ
혜아리다 理會 각다 理會 아다 理會 오다 理會 ≪1657 어록-초 5ㄴ
18세기 : (각-, 각-)
각여 보리라 ≪1721 오륜전비 2:12ㄱ
알픠 갇가이 나아가 듣와 取야 早夜의 각야 만일 올티 아닌 거시 읻거 허믈을 고텨 긴 거슬 조츨니라 ≪1737 여사 2:14ㄱ
그 이러 홈을 보고 往往애 즐겨 用心티 아니 니 뎨  각디 못홈이로다 ≪1721 오륜전비 1:19ㄱ
그저 각대 죽어시리라 엇디 이런 말을 다 ≪1721 오륜전비 6:33ㄴ
19세기 : (각-, 각-, 각ㅎ-, 생각-)
사의 은혜 밧고도 감격지 아니 여 며 혐의 각여 그치지 아니 며 ≪1852 태상 대문해 4ㄱ
그 계집이 온가 여 그 니르던 말은 각지 아니 고 급히 나와 가이 본즉 ≪1852 태상 2:70ㄱ
각건 슌이 평일의 하이 도으심을 닙와 아문의 봉공온지 지금 십 여년 ≪1852 태상 2:05ㄱ
이 兒孩 改過야 物件을 보면 自然 心中에 그 을 생각야 아모 일이라도 公評치 아닐  업스니 ≪1896 심상 3:11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