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떠러지다

- 활용
- 떨어지어[떠러지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으로】
- 「001」위에서 아래로 내려지다.
- 굵은 빗방울이 머리에 한두 방울씩 떨어지기 시작했다.
- 자다가 어째 잠자리가 불편해서 깨어보니, 난 바닥에 떨어져 있고 저 작자는 내 침대를 차지하고 세상모르고 자고 있잖아.≪박완서, 도시의 흉년≫
- 그가 시멘트 바닥에 몸을 던지는 순간, 꽝, 포탄은 숙소 뒤편 대나무 숲에 떨어져 터졌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 그는 발을 헛디뎌서 구덩이로 떨어졌다.
- 우산 가장자리로 빗물이 좌락좌락 떨어져 내리고 있었다.≪이호철, 소시민≫
- 중심을 잃은 유모의 몸은 나뭇잎같이 어이없이 낭떠러지 밑으로 떨어져 갔다.≪한무숙, 만남≫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러디다(15세기~17세기)>러디다(17세기~18세기)>러지다(18세기~19세기)/어지다(19세기)>떠러지다(19세기)/떨어지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떨어지다’의 옛말인 ‘러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러디다’는 동사 ‘-’에 연결어미 ‘-어’, 동사 ‘디-’가 결합한 구 구성에서 발전하여 합성어가 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지고 어두된소리화를 겪어 초성 ‘ㅳ’이 ‘ㄷ’의 된소리로 바뀌면서 17세기에는 ‘러디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시기에는 된소리를 표기할 때 ㅅ계 합용병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ㄷ’의 된소리가 ‘ㅼ’으로 표기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일어난 ㄷ구개음화 현상에 따라 18세기에는 ‘러지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19세기에는 ‘러지다’를 분철 표기한 ‘어지다’의 예와 각자병서 ‘ㄸ’을 사용한 ‘떠러지다’의 예도 보이는데, 이들은 모두 표기상의 차이는 있으나 현대 국어 ‘떨어지다’와 소리는 동일하다. |
---|---|
이형태/이표기 | 러디다, 러디다, 러지다, 어지다, 떠러지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