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작ː따발음 듣기]
활용
작아[자ː가발음 듣기], 작으니[자ː그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3」일의 규모, 범위, 정도, 중요성 따위가 비교 대상이나 보통 수준에 미치지 못하다.
작은 사건.
작은 문제.
작은 실수.
작은 힘이라도 보태다.
네 회사의 규모는 우리 회사보다 훨씬 작다.
아무리 작은 단서라도 얻게 되면 수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역사 정보

쟉다(15세기~19세기)>작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작다’의 옛말인 ‘쟉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쟈’와 ‘자’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18세기 문헌에서부터 ‘작다’가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쟉다, 작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쟉다))
깁오 쟉게 비븨여 ≪1466 구방 하:82ㄱ
16세기 : ((쟉다))
로옴이 쟉고 욕심이 젹으며 ≪1588 소언 5:106ㄱ
너모 쟉게  니언뎡 ≪1518 정속-이 25ㄱ
17세기 : ((쟉다))
디룡이 고 쟉고1608 언두 상:8ㄴ
18세기 : ((쟉다, 작다))
술은 쟉은 잔으로 여러 슌 먹 거시 ≪1790 인어 9:20ㄴ
쇼타 이 작게 문을 열과댜 호미오 ≪1787 병학 18ㄱ
19세기 : ((쟉다, 작다))
쟈근 독에 며조 오십 덩이 너허 ≪1869 규합 5ㄴ
부비 작지 안타 不費不小 ≪1895 국한 15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