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크다발음 듣기]
활용
커[커발음 듣기], 크니[크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3」일의 규모, 범위, 정도, 힘 따위가 대단하거나 강하다.
가치가 일.
책임이 크다.
그녀는 씀씀이가 크다.
올해 여름은 비가 많이 와 난리를 겪었다.
힘든 만큼 기쁨이 컸다.
음주 운전 단속이 크게 강화되었다.
그 지방은 농업이 크게 발달했다.
우박이 크게 쏟아졌다.
꿈을 가진 자만이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어휘

반대말
작다
지역어(방언)
커다(경북, 전북), 대무-하다(충청)

역사 정보

크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크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크다))
모미  크고 다리 굵고 ≪1447 석상 6:32ㄴ
天下애 功이 크샤 太子ㅿ 位 다거시늘 ≪1447 용가 101
16세기 : ((크다))
네 큰 복을 더 게 리라 ≪1518 번소 4:22ㄱ
집의 크며 져근 이를 ≪1518 번소 9:94ㄱ
17세기 : ((크다))
빋치 희고 크고 심장은 반이 되니 ≪1608 언두 상:3ㄱ
크나 쟈그나  일을 ≪17세기 여훈 하:4ㄱ
18세기 : ((크다))
밥을 크게 디 말며 ≪1737 어내 1:2ㄴ
大 크게 大了 크다 碎小 다 張大 크게 다 ≪1748 동해 하:54ㄱ
19세기 : ((크다))
크게 깃거 샤 ≪1832 십구 1:48ㄱ
신의 힘이 비록 크나 이 신의 힘을 밋지 못이 ≪1865 주년 35ㄴ

관용구·속담(3)

관용구크나 작으나
크기에 관계없이 어쨌든.
  • 크나 작으나 할 수 없는 일이죠.
관용구큰 걸음을 내디디다[떼다]
일을 큰 규모로 시작하다.
  • 큰 걸음을 내디딘 대건설 행군을 더욱 힘 있게 다그치다. ≪선대≫
관용구큰 손(을) 쓰다
필요한 대책을 크게 세우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