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사뢰다/사뤠다]
- 활용
- 사뢰어[사뢰어/사뤠여](사뢔[사뢔]), 사뢰니[사뢰니/사뤠니]
- 품사/문형
- 「동사」 【…에게 …을】【…에게 -고】
- 「001」웃어른에게 말씀을 올리다.
- 선생님께 사뢰올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말이옵니다. 목이 달아나려고 장군께 헛말씀을 사뢰겠습니까?≪박종화, 임진왜란≫
- 주인어른께 인사 말씀도 드리지 못하고 떠난다고 사뢰어 주시오.
- 대감과 마님께 못 뵈옵고 간다고 사뢰어라.≪현진건, 무영탑≫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살오다(18세기)>사뢰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사뢰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으로,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으로 나타났다. 15세기 중엽 이후로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면서 ‘-’은 ‘오-’로 변화하여, ‘-/오-’의 이형태 교체를 하는 ㅂ 불규칙용언이 되었다. 근대국어 시기에 ‘오-’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도 쓰이게 되어 ‘-/오-’의 교체가 사라지고 어간이 ‘오다’로 단일화 되었다. 또한 어두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뀌면서 ‘오다>살오다’로 변화하고, 현대 국어에서는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제2음절에 반모음 ‘ㅣ’가 추가되어 ‘살오다>사뢰다’로 변화하게 되었다(이러한 변화는 유사한 의미를 지닌 동사 ‘알외다’에서 유추된 것일 가능성도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 -, 오-, 로-, 살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