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사뢰다/사뤠다]
활용
사뢰어[사뢰어/사뤠여](사뢔[사뢔]), 사뢰니[사뢰니/사뤠니]
품사/문형
「동사」 【…에게 …을】【…에게 -고】
「001」웃어른에게 말씀을 올리다.
선생님께 사뢰올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말이옵니다. 목이 달아나려고 장군께 헛말씀을 사뢰겠습니까?≪박종화, 임진왜란≫
주인어른께 인사 말씀도 드리지 못하고 떠난다고 사뢰어 주시오.
대감과 마님께 못 뵈옵고 간다고 사뢰어라.≪현진건, 무영탑≫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살오다(18세기)>사뢰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사뢰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으로,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으로 나타났다. 15세기 중엽 이후로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면서 ‘-’은 ‘오-’로 변화하여, ‘-/오-’의 이형태 교체를 하는 ㅂ 불규칙용언이 되었다. 근대국어 시기에 ‘오-’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도 쓰이게 되어 ‘-/오-’의 교체가 사라지고 어간이 ‘오다’로 단일화 되었다. 또한 어두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뀌면서 ‘오다>살오다’로 변화하고, 현대 국어에서는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제2음절에 반모음 ‘ㅣ’가 추가되어 ‘살오다>사뢰다’로 변화하게 되었다(이러한 변화는 유사한 의미를 지닌 동사 ‘알외다’에서 유추된 것일 가능성도 있다).
이형태/이표기 -, -, 오-, 로-, 살오-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오-)
迦毗羅國에 가아 淨飯王 安否 더니 耶輸ㅣ 부텻 使者 왯다 드르시고 ≪1447 석상 6:2ㄱ
그  目連이 種種 方便으로 다시곰 도 耶輸ㅣ 잠도 듣디 아니실 ≪1447 석상 6:6ㄱ
阿私陁ㅣ 두립사리 말이고  三界 中에 尊신 부니시니다 고 ≪1447 석상 3:1ㄴ
如來ㅅ 알 偈 와 부텨 기리오 ≪1461 능엄 3:108ㄴ
如來 恭敬야 받오 慈嚴이라 오 慈 恩惠로 고 嚴은 저프샤로 오니라1461 능엄 1:29ㄴ
16세기 : (-, 오-)
 學長이 외 學生을다가 스님 고 그리 텨도 다함 저티 아닌니라 ≪1510년대 번노 상:7aㄴ
만일에 몬져 올 대로 오면 죄 측티 몯리니 안즉 긔윰만 디 몯니라 ≪1518 번소 9:43ㄴ
올 주 ≪1583 천자-석 32ㄱ
17세기 : (-, 오-, 로-)
每日 學長이 뎌 래 學生을다가 스승 고 그리 티되 그저 젓티 아니니라 ≪1670 노언 상:6ㄴ
처음으로 뵈오 하 극진히 졉시니 올 양도 업서이다 ≪1676 첩신-초 3:5ㄱ
祭 時예 즉시 허位 設고 紙榜으로 位마다 標記고 祭 매 롤 디니 이 티 면  禮의 變을 得  니라 ≪1632 가언 10:9ㄴ
18세기 : (-, 오-, 로-, 살오-)
相公 노니 므슴 使令이 잇니잇고 ≪1721 오륜전비 5:33ㄱ
后ㅣ 오샤 妾 드르니 水旱이 업슨 시졀이 업다 호니 ≪1737 어내 2:95ㄴ
쇼인이 몬져 올 슬 이리 御意시니 感激히 너기이다 ≪1748 첩신-개 3:2ㄱ
이티 세 번 부텨 로샤 원호 셰존아 후셰 악업 듕을 분별 마쇼셔 ≪1762 지장 상:17ㄱ
신명 살오 소지 ≪1796 경신 34ㄱ
19세기 : (-, 오-)
다 白活 ≪1880 한불 390
공이 그 죄 의심여 오고져 되 묘리 업을 근심더니 ≪1852 태상 2:3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