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여ː쭙따

- 활용
- 여쭈워[여ː쭈워



- 품사/문형
- 「동사」 【…에게 …을】【…에게 -고】
- 「001」웃어른에게 말씀을 올리다.
- 부모님께 여쭈워 보고 결정하겠습니다.
- 먼 길에 피로하실 텐데, 우선 잠깐 쉬시고 자세한 말씀은 차차로 여쭙겠습니다.≪박종화, 임진왜란≫
- 김 조교는 선생님께 강의실이 변경되었다고 여쭙지 않아서 꾸중을 들었다.
역사 정보
엳다(15세기)>엿다(16세기~19세기)>엿줍다(19세기)>여쭙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여쭙다’의 옛말인 ‘엳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엳다’는 “말하다, 알리다, 보고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옅-’과 객체높임법의 선어말어미 ‘--’이 결합한 것이다. 현대 국어의 ‘여쭙다’가 “웃어른에게 말씀을 올리다”라는 의미를 갖는 것은 객체가 존대의 대상일 때 결합하던 선어말어미 ‘--’이 결합한 어휘이기 때문이다. 이 단어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엳-’으로,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엳-’으로 나타났다. 15세기 중엽 이후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여 ‘엳-’이 ‘엳오-’로 변화하면서 ‘엳-/엳오-’로 이형태 교체를 하는 ㅂ 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16세기에 종성 위치에서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지면서 표기의 혼동이 일어나 16세기~19세기 문헌에는 ‘엿-/엿오-’로 표기된 예도 나타났다. 19세기에는 ‘엿다’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ㅜ’로 바뀐 ‘엿줍다’의 예가 등장하였는데, 현대 국어에서는 제2음절의 초성을 된소리로 표기한 ‘여쭙다’로 나타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엳-, 엳-, 엳오-, 엿-, 엿오-, 엿조오-, 엿줍-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