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여ː쭙따발음 듣기]
활용
여쭈워[여ː쭈워발음 듣기], 여쭈우니[여ː쭈우니발음 듣기], 여쭙는[여ː쭘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게 …을】【…에게 -고】
「001」웃어른에게 말씀을 올리다.
부모님께 여쭈워 보고 결정하겠습니다.
먼 길에 피로하실 텐데, 우선 잠깐 쉬시고 자세한 말씀은 차차로 여쭙겠습니다.≪박종화, 임진왜란≫
김 조교는 선생님께 강의실이 변경되었다고 여쭙지 않아서 꾸중을 들었다.

관련 어휘

비슷한말
사뢰다, 여쭈다
옛말
엳다

역사 정보

엳다(15세기)>엿다(16세기~19세기)>엿줍다(19세기)>여쭙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여쭙다’의 옛말인 ‘엳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엳다’는 “말하다, 알리다, 보고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옅-’과 객체높임법의 선어말어미 ‘--’이 결합한 것이다. 현대 국어의 ‘여쭙다’가 “웃어른에게 말씀을 올리다”라는 의미를 갖는 것은 객체가 존대의 대상일 때 결합하던 선어말어미 ‘--’이 결합한 어휘이기 때문이다. 이 단어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엳-’으로,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엳-’으로 나타났다. 15세기 중엽 이후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여 ‘엳-’이 ‘엳오-’로 변화하면서 ‘엳-/엳오-’로 이형태 교체를 하는 ㅂ 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16세기에 종성 위치에서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지면서 표기의 혼동이 일어나 16세기~19세기 문헌에는 ‘엿-/엿오-’로 표기된 예도 나타났다. 19세기에는 ‘엿다’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ㅜ’로 바뀐 ‘엿줍다’의 예가 등장하였는데, 현대 국어에서는 제2음절의 초성을 된소리로 표기한 ‘여쭙다’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엳-, 엳-, 엳오-, 엿-, 엿오-, 엿조오-, 엿줍-
세기별 용례
15세기 : (엳-, 엳-, 엳오-)
말 엳고 쳔 만히 시러 王舍城으로 가며 ≪1447 석상 6:15ㄴ
世尊하 내 이제 諸佛 니시논 陁羅尼句를 엳 請노니 ≪1459 월석 10:84ㄱ
雲이 도라 와 이 이 엳온대 帝ㅣ 무덤을 이니 ≪1482 남명 상:52ㄱ
16세기 : (엳-, 엳-, 엳오-, 엿-, 엿오-)
祥瑞로온 거슬 님금 엳디 말며 과 도류와 도텹여 ≪1518 번소 10:14ㄱ
天順甲申에 엳 紅門 셰니라 ≪1514 속삼 효:10ㄱ
모로매 命을 도로 엳와 로 소니 도라보디 아니다 더시다 ≪1518 번소 3:3ㄴ
임원쥰과 그 아 임홍의 샤특 줄을 엿다가 파직니라 ≪1581 속삼-중 충:6ㄱ
그 졀을 아다이 녀겨 나라희 엿온대1518 번소 9:66ㄴ
17세기 : (엳-, 엳오-, 엿-, 엿오- , 엿조오-)
이 行애 드러가 엳 혜아료미 젹디 아니니 ≪1632 두시-중 8:23ㄱ
니르시 道理 前後 樣子 극진히 三使 엳오니 三使 니르시믄 극진히 념녀심 滿足여이다 ≪1676 첩신-초 5:28ㄴ
醴酒 둣 해 옷기슬글 그으고 賦 엿고 明光宮의 드로라 ≪1632 두시-중 2:41ㄴ
이런 道理 東萊 엿와 일 브  양으로 소 ≪1676 첩신-초 1:32ㄴ
이 날에 因여 聖母 압픠 나아가 글의 인주 엿조오매 곳 慈命을 닙소오니 ≪17세기 여훈 상:8ㄱ
18세기 : (엳-, 엳오-, 엿-, 엿오-)
이도 祝言의 일이라 엳이다1748 첩신-개 6:10ㄱ
今度 슈고시문 朝廷의도 셔히 엳오리이다1748 첩신-개 8:48ㄱ
다 불디고 엿디 아니니 셰샹이 쟝쟤라 일더라 ≪1758 종덕 상:33ㄴ
엿온 바 각샤 내 만히 놋 배 잇더라 ≪1737 어내 2:39ㄱ
19세기 : (엿오-, 엿줍-)
량인이 각각 사 디명을 셰히 엿온  무러 샤 ≪1894 천로 2:194ㄱ
엿줍다 奏 ≪1880 한불 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