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뢰다발음 듣기/아뤠다발음 듣기]
활용
아뢰어[아뢰어발음 듣기/아뤠여발음 듣기](아뢔[아뢔]), 아뢰니[아뢰니발음 듣기/아뤠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게 …을】【…에게 -고】
「001」말씀드려 알리다.
조사 끝에 이방이 현감께 사연을 아뢰고 현감의 분부를 물어 가지고 즉시 검시 준비를 차리었다.≪홍명희, 임꺽정≫
그는 주인에게 길을 떠나겠다고 아뢰고 집을 나섰다.

역사 정보

알외다(15세기~19세기)>아뢰다(17세기~현재)

설명 국어사 자료에서 ‘아뢰다’에 대한 15세기 형태는 ‘알외다’이다. ‘알외다’는 ‘알­(知)+-오­(선어말 어미)+­이­(접사)+다(어미)’로 분석하기도 하지만 ‘아뢰다’가 갖는 ‘공손’, ‘겸양’의 의미가 나타나지 않는 분석이기 때문에 믿을 만하지 않다. ‘알외다’는 이후 20세기까지 문헌에 계속 나타나고 있다. 17세기에는 ‘아뢰다’와 ‘알뢰다’가 문헌에 등장한다. ‘아뢰다’는 ‘알외다’를 연철 표기한 형태로 음가는 ‘알외다’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알뢰다’는 ‘알외다’의 중철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알외다, 아뢰다, 알뢰다, 알위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알외다))
衆生 뵈여 알외시니1459 월석 11:113ㄱ
法性을 여러 알외샤1465 원각 하3-1:5ㄴ
16세기 : ((알외다))
외며 올 주를 알외여 니고 ≪1514 속삼 충:4ㄱ
사름믜게 유무여 알외니라1518 이륜-옥 47ㄱ
17세기 : ((알외다, 아뢰다, 알뢰다))
郵籤은 믌 즘게 알외놋다1632 두시-중 2:20ㄴ
振舞 오니 御 案內 아뢰이다1676 첩신-초 8:23ㄴ
쵸탐마긔 흔드러 경을 알뢰라1612 연병 22ㄱ
18세기 : ((알외다, 아뢰다, 알뢰다))
그 李儒의게 알외니1774 삼역 1:10ㄴ
음신을 안노슈 젼야 아뢰쇼셔 야 ≪1776 염보-해 왕랑반혼전:7ㄴ
징죠 미리 알뢰든 거신가 시부다 ≪1765 청노 5:8ㄱ
19세기 : ((알외다, 아뢰다, 알위다))
션과 밋 져구의게 알외다1832 십구 2:37ㄴ
몸의  시신이 잇셔 아뢰는 바 ≪1881 조군 9ㄱ
다시 샹뎨게 알위여 발키 법을 졍야 ≪1883 명성 25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