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열ː]
- 품사
- 「수·관」
- 「004」아홉에 하나를 더한 수. 또는 그런 수의.
- 여덟에 둘을 더하면 열이 된다.
- 열을 셀 때까지 답을 맞히어라.
- “싫은 것을 어찌합니까. 열이면 열, 백이면 백이 다 죽은 공주만 못한 것을!” 왕은 말을 마치고 이내 눈물을 주르르 흘렸다.≪박종화, 다정불심≫
- 어지간한 묏자리는 풍수에 따라 다른 법인데, 이 묏자리는 웬만한 자리였던지 열이면 열, 어느 풍수도 그것이 그럴싸한 자리라는 데 이견이 없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 쌀 열 가마.
- 운동화 열 켤레.
- 모인 사람은 모두 열 명이다.
- 날마다 아침 열 시에는 내무 사열이 있다.≪안정효, 하얀 전쟁≫
- 그 학교는 당시 전국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명문 중에 하나였소.≪이문열, 사람의 아들≫
- 장령이나 국관이나 군사나 모두가 백성들보다도 열 갑절 스무 갑절 장군의 후한 은혜와 밝은 지도를 받던 부하들이다.≪박종화, 임진왜란≫
역사 정보
엻(15세기~19세기)>열(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열’의 옛말인 ‘엻’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엻/열’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곰’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이었다. 17세기 이후로는 조사 ‘-과’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도 끝소리 ㅎ이 탈락한 ‘열’이 쓰인 예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19세기까지는 ‘엻’ 역시 여전히 나타났다. |
---|---|
이형태/이표기 | 엻, 열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54)
- 관용구열 번 죽었다 깨어도[살아도/피어도]
- 열 번 죽었다가 살아날 만큼 온갖 노력을 다하여도.
- 관용구열에 아홉
- 거의 모두.
- 그가 제공한 로마군의 동향에 대한 정보는 열에 아홉이 적중되었던 것이다.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 관용구열 일 제치다
- 한 가지 중요한 일 때문에 다른 모든 일은 뒤로 미루거나 그만두다.
- 네 일이라면 열 일 제치고 달려가겠다.
- 속담열 계원에 아홉 좌상
- 계원은 열인데 좌상이 아홉이나 된다는 뜻으로, 많지 아니한 사람 가운데 받들어 섬겨야 할 윗사람이 여럿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고을 화냥년이 한 고을의 지어미 된다
- 행실이 곱지 못하던 여자가 마음을 고쳐먹고 정숙한 아내가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골 물이 한 골로 모인다
- 여럿이 지은 죗값으로 받게 되는 벌이 한 사람에게만 모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
- 사람의 속마음을 알기란 매우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천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 ‘사람 속은 천 길 물속이라’ ‘천 길 물속은 알아도 계집 마음속은 모른다’
- 속담열 길 물에 죽으나 한 길 물에 죽으나 죽기는 마찬가지
- 본질은 같다는 말.
- 속담열 냥 부조는 못할망정 백 냥 제상은 치지 말라
- 도와주지는 못하더라도 손해는 끼치지 말아야 한다는 말.
- 속담열 놈이[놈에] 죽 한 사발
- 주어지는 몫이 너무도 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달 만에 아이 날 줄 몰랐던가
- 일이 그렇게 되리라는 것은 당연한 사실인데 그것도 모르고 있었느냐는 말.
- 속담열 도깨비 날치듯
- 여러 사람이 어수선하게 떠들며 날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두 가지 재주에 저녁거리가 (간데)없다
- 재주가 여러 방면으로 많은 사람은 한 가지 재주만 가진 사람보다 성공하기 어렵다는 말.
- 속담열두 폭 말기를 달아 입었나
- 남의 일에 쓸데없이 간섭하고 참견함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치마가 열두 폭인가’ ‘열두 폭 치마를 둘렀나’ ‘치마폭이 스물네 폭이다’
- 속담열두 폭 치마를 둘렀나
- 남의 일에 쓸데없이 간섭하고 참견함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치마가 열두 폭인가’ ‘열두 폭 말기를 달아 입었나’ ‘치마폭이 스물네 폭이다’
- 속담열 발 성한 방게 같다
- 어린아이가 조금도 가만히 누워 있지 못하고 바스락대며 돌아다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번 갈아서 안 드는 도끼가 없다
- 무슨 일이나 꾸준히 공을 들이면 소기의 성과를 거두게 됨을 이르는 말.
- 속담열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 듣기만 하는 것보다는 직접 보는 것이 확실하다는 말. <동의 속담>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듣는 것이 보는 것만 못하다’ ‘백문이 불여일견(不如一見)’
- 속담열 번 쓰러지면 열 번 (다시) 일어난다
- 백절불굴의 강인한 정신과 기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번 잘하고 한 번 실수를 하지 말아야 한다
- 한 번 잘못하면 열 번 잘한 것도 아무 소용이 없으니 언제나 조심하라는 말.
- 속담열 번 재고 가위질은 한 번 하라
- 이모저모로 깊이 생각하고 세심하게 따져 본 다음에 행동에 옮기라는 말. <동의 속담> ‘열 번 재고 가위질하라’
- 속담열 번 재고 가위질하라
- 이모저모로 깊이 생각하고 세심하게 따져 본 다음에 행동에 옮기라는 말. <동의 속담> ‘열 번 재고 가위질은 한 번 하라’
- 속담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아무리 뜻이 굳은 사람이라도 여러 번 권하거나 꾀고 달래면 결국은 마음이 변한다는 말.
- 속담열 벙어리가 말을 해도 가만있어라
- 누가 뭐라고 하여도 상관 말고 못 들은 척 가만히 있으라는 말.
- 속담열 사람의 작은어머니보다 한 사람의 어머니가 더 크다
- 작은어머니보다 어머니에 대한 자식의 깊은 정은 크고 각별하다는 말.
- 속담열 사람이 밥 한 사발
- ‘열의 한 술 밥이 한 그릇 푼푼하다’의 북한 속담.
- 속담열 사람이 백 말을 하여도 들을 이 짐작
- 옆에서 아무리 감언이설로 말을 늘어놓아도 듣는 사람은 자기 나름대로 짐작을 할 것이니 말한 그대로만 될 리는 없다는 말. <동의 속담> ‘들을 이 짐작’
- 속담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놈을 못 막는다
- 여러 사람이 함께 살펴도 한 사람의 나쁜 짓을 못 막는다는 말.
- 속담열 사람 죽으러 가는 데는 가도 한 사람 살러 가는 데는 가지 말라
- 여러 사람을 희생시키더라도 제 한 목숨만 살겠다고 너절하게 행동하는 사람과는 절대로 상종하지 말라는 말.
- 속담열 사람 형리(刑吏) 사귀지 말고 한 가지 죄를 범하지 마라
- 남의 힘을 믿고 함부로 처신하지 말고 제 몸을 바로 처신하라는 말.
- 속담열 사위는 밉지 아니하여도 한 며느리가 밉다
- 사위는 사랑하고 며느리는 미워하는 사람이 많다는 말. <동의 속담> ‘열 사위 미운 데 없고 외며느리 고운 데 없다’
- 속담열 사위 미운 데 없고 외며느리 고운 데 없다
- 사위는 사랑하고 며느리는 미워하는 사람이 많다는 말. <동의 속담> ‘열 사위는 밉지 아니하여도 한 며느리가 밉다’
- 속담열 새끼 낳은 소 멍에 벗는 날이 없다
- 소가 숱한 새끼를 낳았어도 일거리는 끊어지지 아니하여 어느 하루도 멍에를 벗지 못한다는 뜻으로, 자식을 많이 둔 사람이 편안할 날이 없고 고생만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서방 사귀지 말고 한 서방을 사귀라
- 여성으로서의 도덕을 지켜 이 남자 저 남자와 부도덕한 관계를 맺지 말라는 말.
- 속담열 서방 친할라 말고 한 몸을 삼가라
- 어렴풋하게 여러 사람을 사귀는 것보다 단 한 사람이라도 속내를 잘 알고 정이 두텁게 깊이 사귀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 <동의 속담> ‘열 서방 사귀지 말고 한 서방을 사귀라’
- 속담열 소경에 한 막대
- 매우 긴요하고 소중한 물건을 이르는 말.
- 속담열 소경에 한 막대요 팔 대군의 일 옹주라
- ‘열 소경에 한 막대’의 북한 속담.
- 속담열 소경이 풀어도 아니 듣는다
- 자기 고집만 내세우고 남의 말을 도무지 듣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속담열 손가락 깨물어 다 아픈 중 새끼손가락이 제일 더 아프다
- 막냇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이 각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없다
- 혈육은 다 귀하고 소중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다섯 손가락 깨물어서 아프지 않은 손가락이 없다’
- 속담열 손가락으로 물을 튀긴다
- 아무 일도 안 하고 뻔뻔하게 놀고만 있는 것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손끝으로 물만 튀긴다’ ‘손끝에 물도 안 튀긴다’
- 속담열 손 재배한다
- 일손을 놓고 놀고 지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손 한 지레
- 여러 사람이 할 일을 능력 있는 한 사람이 해낸다는 말.
- 속담열 숟가락 모아 한 밥
- ‘열의 한 술 밥이 한 그릇 푼푼하다’의 북한 속담.
- 속담열 시앗이 밉지 않고 한 시누이가 밉다
- 대개 올케와 시누이의 의가 좋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 식구 벌지[벌려] 말고 한 입 덜라
- 수입을 늘리려고 무리하게 일하는 것보다 꼭 필요한 사람 외에는 두지 않는 것이 오히려 낫다는 뜻으로, 지출을 줄이는 것이 경제적으로 더 현명한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비단 한 필을 하루에 짜려 말고 한 식구를 줄여라’
- 속담열에 한 맛도 없다
- 음식이 도무지 맛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열은 하나를 꾸리지 못해도 하나는 열을 꾸린다
- 평범한 사람은 아무리 머릿수가 많아도 큰일을 해내기 어렵지만 뛰어난 인물은 많은 사람을 묶어서 큰일을 어렵지 않게 해낸다는 말.
- 속담열을 듣고 하나도 모른다
- 아무리 들어도 깨우치지 못하여 어리석고 우둔하다는 말.
- 속담열의 한 술 밥
-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서 밥 한 그릇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럿이 각각 조금씩 도와주어 큰 보탬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열의 한 술 밥이 한 그릇 푼푼하다’ ‘열이 어울러 밥 찬 한 그릇’
- 속담열의 한 술 밥이 한 그릇 푼푼하다
-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서 밥 한 그릇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럿이 각각 조금씩 도와주어 큰 보탬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열의 한 술 밥’ ‘열이 어울러 밥 찬 한 그릇’
- 속담열이 어울러 밥 찬 한 그릇
-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서 밥 한 그릇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럿이 각각 조금씩 도와주어 큰 보탬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열의 한 술 밥이 한 그릇 푼푼하다’ ‘열의 한 술 밥’
- 속담열 자식이 한 처만 못하다
- 아내가 아주 중요함을 이르는 말.
- 속담열 집 사위 열 집 며느리 안 되어 본 사람 없다
- 혼삿말이란 흔히 여기저기서 많이 나온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