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십

- 활용
- 십만[심만

- 품사
- 「수사」
- 「001」구에 일을 더한 수. 아라비아 숫자로는 ‘10’, 로마 숫자로는 ‘X’으로 쓴다.
- 이에 오를 곱하면 십이다.
- 십이면 적은 수는 아니지.
- 간도 내에 거주하는 유민 중 조선인이 십만이요 청인이 삼만, 십 대 삼이었지만 그간 대국의 세를 믿고 청인의 핍박을 조선 백성은 겪어야 했고….≪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열
관용구·속담(16)
- 속담십 년 가환에 잘사는 이 없고 십 년 태평에 못사는 이 없다
- 집안에 근심 걱정이 잦으면 살림살이가 펼 수가 없고 집안이 오랫동안 늘 편안하면 살림이 편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년 과수로 앉았다가 고자 대감을 만났다
- 오랫동안 공들인 일도 복이 없고 운수가 나쁘면 아무 보람도 없이 쓸모없는 것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년 묵은 체증이 내리다
- 어떤 일로 인하여 더할 나위 없이 속이 후련하여진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년 세도(勢道) 없고 열흘 붉은 꽃 없다
- 부귀영화가 오래 계속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년을 같이 산 시어미 성도 모른다
- 같이 생활하는 친숙한 사이에서 응당 알고 있어야 할 것을 모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한집에 있어도 시어미 성을 모른다’ ‘머슴살이 삼 년에 주인 성 묻는다’ ‘한집안에 김 별감 성을 모른다’
- 속담십 년이면 강산[산천]도 변한다
- 세월이 흐르게 되면 모든 것이 다 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년 적공이면 한 가지 성공을 한다
- 무슨 일이든지 오랫동안 꾸준히 노력하면 마침내는 성공하게 됨을 이르는 말.
- 속담십 리가 모랫바닥이라도 눈 찌를 가시나무가 있다
- 아주 친한 벗 사이에도 원수가 섞여 있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리 강변에 빨래질 갔느냐
- 십 리나 되는 강변까지 갔다 오느라고 얼굴이 탔느냐는 뜻으로, 얼굴이 까맣게 그은 사람을 보고 이르는 말.
- 속담십 리 길에 점심 싸기
- 십 리밖에 안 되는 가까운 데를 가더라도 점심밥을 싸 가지고 다닌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나 준비를 든든히 할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가까운 데를 가도 점심밥을 싸 가지고 가거라’
- 속담십 리 눈치꾸러기
- 십 리 밖에서도 눈치를 챌 만큼 아주 눈치가 빠른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리 밖에 있어도 오리나무
- 아무리 십 리 밖에 있어도 오리나무는 여전히 오리나무라는 뜻으로, 사물의 본질은 변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리 반찬
- ‘오 리’가 ‘오리’와 동음인 데서 오리 두 마리로 만든 반찬이라는 뜻으로, 좋은 반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리에 다리 놓았다
- 어떤 일에나 방해나 곡절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리에 장승 서듯
- 무엇이 지키고 서 있기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십 리에 한 걸음 오 리에 한 걸음
- 걸음이 매우 더딘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