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어우르다

- 활용
- 어울러[어울러], 어우르니[어우르니]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여럿을 모아 한 덩어리나 판이 크게 되게 하다.
- 여러 사람이 힘을 어울러 그 일을 하리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 깨진 조각들을 어울러 붙여서 온전한 항아리 모양을 재현했다.
- 이제 갓 복학한 학생들은 자주 모여서 술판을 어우르곤 했다.
- 온종일을 두고 보아야 모친과는 으레 그러려니 하더라도 건넌방 식구와는 잇새도 어우르지를 않고 영감 옆에 꼭 붙어 앉았다.≪염상섭, 삼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어올다/아올다(15세기~19세기)>어우르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어우르다’의 옛말인 ‘어올다/아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이후 ‘어우다, 어우르다, 어우루다, 어울우다, 어우로다, 어우르다, 아오르다’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 이들은 ‘어울다’, ‘아올다’가 활용하면서 나타나는 이형태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15세기 국어에 보이는 ‘어우시니’(1461 능엄 6:4ㄴ)는 ‘어울-’에 ‘-()시-’와 결합되면서 나타난 어형으로 어간을 ‘어우다’로 인식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어울다’, ‘아울다’는 활용에서 나타나는 이형태들로 인해 ‘머물다’, ‘머무르다’처럼 제3음절에 ‘으’가 있는 형태로 인식되어 20세기 이후 ‘어우르다’, ‘아우르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아올다, 어울다, 어울우다, 어우로다, 어우르다, 아오르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