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우르다

- 활용
- 아울러[아울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여럿을 모아 한 덩어리나 한 판이 되게 하다.
- 여럿이 돈을 아울러서 선물을 준비했다.
- 황제가 할 수 있는 것은 힘으로 천하를 아우르는 것이었지만 그것은 더욱 어려웠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그 적서 열여덟 분의 힘을 아우르면 이 세상에 무서울 자 없었다.≪김동인, 대수양≫
- 그 처소는 저세상과 이 세상을 아울러서, 한편 문은 무덤으로 통하고 한편 문은 세상으로 통하였다.≪한용운, 흑풍≫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어우르다
역사 정보
아올다(15세기~18세기)>아오로다(18세기~19세기)/아오르다(18세기~19세기)>아우르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우르다’의 옛말인 ‘아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올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아올-’로, ‘-디, -다’ 등이나 ‘-ㄹ’ 등의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아오-’로 나타나 ‘아올-/아오-’의 교체를 보였다. 18세기에는 어간말에 모음 ‘ㅗ’가 첨가된 ‘아오로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또한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아올랏도다’와 같은 예에서 ‘아올ㄹ-’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 시기에 ‘아오르다’ 형태도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올나’도 ‘아올ㄹ-’ 형태를 보여주는 예인데,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인 어중에 연속되어 나타나는 ‘ㄹㄹ’을 ‘ㄹㄴ’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라 ‘아올라’가 아닌 ‘아올나’로 표기된 것이다. 이는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아울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19세기에 ‘아울너’의 예에서 ‘아울ㄹ-’ 형태가 확인되므로 ‘아오르다’에서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뀐 ‘아우르다’ 형태가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세국어에는 ‘아올다’와 모음 대립에 따른 의미 차이를 보이는 ‘어울다’도 존재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아올다, 아오로다, 아오르다, 아우르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