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우르다발음 듣기]
활용
아울러[아울러발음 듣기], 아우르니[아우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여럿을 모아 한 덩어리나 한 판이 되게 하다.
여럿이 돈을 아울러서 선물을 준비했다.
황제가 할 수 있는 것은 힘으로 천하를 아우르는 것이었지만 그것은 더욱 어려웠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그 적서 열여덟 분의 힘을 아우르면 이 세상에 무서울 자 없었다.≪김동인, 대수양≫
그 처소는 저세상과 이 세상을 아울러서, 한편 문은 무덤으로 통하고 한편 문은 세상으로 통하였다.≪한용운, 흑풍≫

관련 어휘

참고 어휘
어우르다

역사 정보

아올다(15세기~18세기)>아오로다(18세기~19세기)/아오르다(18세기~19세기)>아우르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우르다’의 옛말인 ‘아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올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아올-’로, ‘-디, -다’ 등이나 ‘-ㄹ’ 등의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아오-’로 나타나 ‘아올-/아오-’의 교체를 보였다. 18세기에는 어간말에 모음 ‘ㅗ’가 첨가된 ‘아오로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또한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아올랏도다’와 같은 예에서 ‘아올ㄹ-’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 시기에 ‘아오르다’ 형태도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올나’도 ‘아올ㄹ-’ 형태를 보여주는 예인데,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인 어중에 연속되어 나타나는 ‘ㄹㄹ’을 ‘ㄹㄴ’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라 ‘아올라’가 아닌 ‘아올나’로 표기된 것이다. 이는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아울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19세기에 ‘아울너’의 예에서 ‘아울ㄹ-’ 형태가 확인되므로 ‘아오르다’에서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뀐 ‘아우르다’ 형태가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세국어에는 ‘아올다’와 모음 대립에 따른 의미 차이를 보이는 ‘어울다’도 존재하였다.
이형태/이표기 아올다, 아오로다, 아오르다, 아우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올다)
兼은 아올 씨라 ≪1459 월석 1서:18ㄱ
16세기 : (아올다)
아올 병 ≪1575 천자-광 26ㄴ
 집 안해 남진 겨집 아오라 일이나  緦麻ㅅ 복졔 권히  밥 지 머고 집 안  말이 업더라 ≪1518 번소 9:77ㄱ
17세기 : (아올다)
혹 죠 심지를 기름 무텨 고자 두어 다시 아오디 아니케 라 ≪1608 언태 69ㄴ
믈읫 뵈 믈 아오라 열 자 네 치라 ≪1632 가언 6:9ㄱ
18세기 : (아올다, 아오로다, 아오르다)
아오다1748 동해 하:58ㄱ
다른 즁관을 모득야 힘을 아오라 도모라 니 ≪1778 속명의 1:35ㄴ
블기 어려온 語句 다 濁으로 일홈엿고 아오로기 쉬온 言辭 다 淸에 屬엿나니 ≪1721 오륜전비 1:25ㄱ
와 밋 각 각 궁방 노비신공을 특별이 아올나 졍감야 머믈너 진의 보게 니 ≪1785 유제주민인윤음 4ㄴ≫
묘젼에  쥬 남기 불희 년고 가지 아올랏도다1797 오륜 열:24ㄱ
19세기 : (아오로다, 아오르다, 아우르다)
아오로 아올노 幷 아오로다 아오르다1880 한불 2
진나라의 니러 비로쇼 륙국을 아올나 졔후 폐고 졍뎐법을 곳쳐 ≪1883 이언 1:03ㄴ
모든 신명이 다 질기고 깃거고 집과 집이 아울너 빗나고 ≪1883 명성 7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