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반드시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틀림없이 꼭.
반드시 시간에 맞추어 오너라.
언행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인간은 반드시 죽는다.
비가 오는 날이면 반드시 허리가 쑤신다.
지진이 일어난 뒤에는 반드시 해일이 일어난다.
노래가 있고 웃음이 있으면 그곳에는 반드시 술이 있게 마련이다.≪홍성원, 육이오≫
그를 집 안으로 들게 해서는 반드시 무슨 끔찍한 일이 벌어질 것 같았다.≪이문열, 영웅시대≫
더구나 급식 장교인 아구창 대위는 창고에 나타날 때는 반드시 먹을 것을 한 아름씩 안고 왔다.≪홍성원, 육이오≫
진실은 반드시 밝혀진다는 것을 항상 기억해라.
지금은 헤어지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만나게 될 것이다.
이상하게도 그녀가 이곳에 오기만 하면 반드시 비가 왔다.
그들은 언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전쟁은 반드시 끝나리라고 믿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아무리 미관말직이라도 관리가 백성을 잡아갈 때는 반드시 그 이유가 있었을 것입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곁에 있는 김 씨가 반드시 무서운 건 아니었지만 어쩐지 몸이 으스스 떨렸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어느 때 어디서나 번화한 항도(港都)라면 바다 사람들을 상대하는 여인들이 반드시 있는 법이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역사 정보

반시(15세기~19세기)>반드시(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반드시’의 옛말인 ‘반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반시’는 어근 ‘반’에 부사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반시’가 ‘반드시’로 변화한 것은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한 현상과 관련이 있으나, 실제 문헌상으로는 18세기까지도 ‘반시’의 예만 나타난다. 19세기 문헌에서 비로소 ‘반드시’ 형태가 등장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중세국어 시기에는 ‘반시’와 같은 의미를 지닌 부사 ‘반기’도 존재하였는데, ‘반기’는 어근 ‘반’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반’과 ‘반’은 말자음 ‘ㅅ’과 ‘ㄱ’이 교체되는 어형으로 의미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형태/이표기 반시, 반드시
세기별 용례
15세기 : (반시)
늘거셔 모 爲니  밥 머글 제  반시 므를 흘리더라 ≪1481 두시-초 24:32ㄱ
 믈 서 홉곰 야 섯거  복을 라  세 번 머그면 돌히 반시 나리니 ≪1489 구간 3:113ㄱ
16세기 : (반시)
사 쵸  지 몰라셔 반시 호 즐기디 아니리니 ≪1518 번소 6:7ㄱ-ㄴ
17세기 : (반시)
아비 죽거 녀묘 밤의  비 이시면 반시 무덤 알 가 울고  아젹을 기드리더라 ≪1617 동신속 효4:28ㄴ≫
18세기 : (반시)
반시 가고져 면 늙은이과 졈은이 볼모 두어라 ≪1774 삼역 2:26ㄱ
必定 반시1790 몽해 하:39ㄴ
19세기 : (반시, 반드시)
반시 必 ≪1880 한불 300
그 함닉지 아닌 쟈 반드시  권고 경계 바를 각고 ≪1882 척사윤음 8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