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침내

- 품사
- 「부사」
- 「001」드디어 마지막에는.
- 오랜 항해 끝에 마침내 육지에 도달하였다.
- 상처가 마침내 곪아 터졌다.
- 마침내 그 두 사람은 헤어지게 되었다.
- 최 의원이 마침내 입을 열었다.
- 모두가 우려하던 사태가 마침내 벌어지고야 말았다.
- 임금 선조는 마침내 윤두수의 말을 옳다 해서 용단을 내려 명나라에 사신을 보낸다.≪박종화, 임진왜란≫
- 얼마 동안 태유를 마구 짓뭉개며 욕지거리를 퍼붓던 그녀가 마침내 일어섰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그제야 두 사람의 마음속엔 마침내 일을 저질렀다는 공포가 다가왔다.≪최인호, 지구인≫
- 이천곤은 김 순경을 만난 지 사흘째 되는 날 밤, 마침내 이 작전은 실행되었고 김 순경이 총을 쏘는 데까지는 어지간히 들어맞았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내(15세기~19세기)>츰내(18세기>마침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침내’의 옛말인 ‘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내’는 “끝내다”의 의미인 ‘-’과 명사 파생 접미사 ‘-’이 결합한 ‘’에 접미사 ‘-내’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18세기에는 ‘츰내’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였는데, 이 영향으로 ‘츰내’는 ‘*마츰내’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츰내’는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지만, 같은 시기에 ‘마내’가 나타나는 것을 통해 추정되는 것이다. ‘마내’는 16세기 후반에 일어났던 제2음절 이하의 ‘ㆍ>ㅡ’의 변화 때문에 ‘ㆍ’와 ‘ㅡ’의 표기가 혼동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 때문에 나타난 표기이기 때문이다. ‘*마츰내’는 근대 국어 후기에 ‘ㅈ’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전설 모음화에 따라 ‘마침내’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내’는 ‘내’의 중철 표기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는 종성 ‘ㄷ’을 ‘ㅅ’으로 적는 표기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따라 ‘ㄷ’과 ‘ㅅ’의 표기에 혼동이 있었다. 17세기의 ‘내’는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내’의 종성 ‘ㅅ’을 ‘ㄷ’으로 표기한 것이다. 16세기 후반에 일어났던 제2음절 이하의 ‘ㆍ>ㅡ’의 변화가 일반적인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로 인해 ‘ㆎ’와 ‘ㅐ’의 표기를 혼동하여 ‘ㅐ’를 ‘ㆎ’로 적는 경우도 있었고, 18세기의 ‘’, ‘’는 바로 이에 해당하는 예이다. 18세기의 ‘맛’는 이 시기에 일어났던 제1음절의 ‘ㆍ>ㅏ’ 변화로 인해 ‘’의 제1음절 ‘ㆍ’가 ‘ㅏ’로 변화한 예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는 ‘마내’가 나타나고, ‘ㅐ’와 ‘ㆎ’의 혼동 표기로 인해 ‘마’도 나타난다. 19세기의 ‘맛내’는 ‘마내’의 중철 표기이고, ‘맛’는 ‘맛내’의 ‘ㅐ’를 ‘ㆎ’로 적은 표기이다. 19세기의 ‘맛츰’는 ‘맛’의 제2음절 ‘ㆍ’가 ‘ㅡ’로 변화한 예이며, ‘맛참’, ‘참’, ‘마참’는 각각 ‘맛’, ‘’, ‘마’의 제2음절 ‘ㆍ’가 ‘ㅏ’로 변화한 예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내, 내, 내, , 마츰내, 마내, 마, 맛참, , 맛내, 맛, 맛츰, 참, 마내, 마참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