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마침내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드디어 마지막에는.
오랜 항해 끝에 마침내 육지에 도달하였다.
상처가 마침내 곪아 터졌다.
마침내 그 두 사람은 헤어지게 되었다.
최 의원이 마침내 입을 열었다.
모두가 우려하던 사태가 마침내 벌어지고야 말았다.
임금 선조는 마침내 윤두수의 말을 옳다 해서 용단을 내려 명나라에 사신을 보낸다.≪박종화, 임진왜란≫
얼마 동안 태유를 마구 짓뭉개며 욕지거리를 퍼붓던 그녀가 마침내 일어섰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그제야 두 사람의 마음속엔 마침내 일을 저질렀다는 공포가 다가왔다.≪최인호, 지구인≫
이천곤은 김 순경을 만난 지 사흘째 되는 날 밤, 마침내 이 작전은 실행되었고 김 순경이 총을 쏘는 데까지는 어지간히 들어맞았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역사 정보

내(15세기~19세기)>츰내(18세기>마침내(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마침내’의 옛말인 ‘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내’는 “끝내다”의 의미인 ‘-’과 명사 파생 접미사 ‘-’이 결합한 ‘’에 접미사 ‘-내’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18세기에는 ‘츰내’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였는데, 이 영향으로 ‘츰내’는 ‘*마츰내’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츰내’는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지만, 같은 시기에 ‘마내’가 나타나는 것을 통해 추정되는 것이다. ‘마내’는 16세기 후반에 일어났던 제2음절 이하의 ‘ㆍ>ㅡ’의 변화 때문에 ‘ㆍ’와 ‘ㅡ’의 표기가 혼동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 때문에 나타난 표기이기 때문이다. ‘*마츰내’는 근대 국어 후기에 ‘ㅈ’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ㅏ’로 바뀌는 전설 모음화에 따라 ‘마침내’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내’는 ‘내’의 중철 표기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는 종성 ‘ㄷ’을 ‘ㅅ’으로 적는 표기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따라 ‘ㄷ’과 ‘ㅅ’의 표기에 혼동이 있었다. 17세기의 ‘내’는 이러한 경향을 인해 ‘내’의 종성 ‘ㅅ’을 ‘ㄷ’으로 표기한 것이다. 16세기 후반에 일어났던 제2음절 이하의 ‘ㆍ>ㅡ’의 변화가 일반적인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로 인해 ‘ㆎ’와 ‘ㅐ’의 표기를 혼동하여 ‘ㅐ’를 ‘ㆎ’로 적는 경우도 있었고, 18세기의 ‘’, ‘’는 바로 이에 해당하는 예이다. 18세기의 ‘맛’는 이 시기에 일어났던 제1음절의 ‘ㆍ>ㅏ’ 변화로 인해 ‘’의 제1음절 ‘ㆍ’가 ‘ㅏ’로 변화한 예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는 ‘마내’가 나타나고, ‘ㅐ’와 ‘ㆎ’의 혼동 표기로 인해 ‘마’도 나타난다. 19세기의 ‘맛내’는 ‘마내’의 중철 표기이고, ‘맛’는 ‘맛내’의 ‘ㅐ’를 ‘ㆎ’로 적은 표기이다. 19세기의 ‘맛츰’는 ‘맛’의 제2음절 ‘ㆍ’가 ‘ㅡ’로 변화한 예이며, ‘맛참’, ‘참’, ‘마참’는 각각 ‘맛’, ‘’, ‘마’의 제2음절 ‘ㆍ’가 ‘ㅏ’로 변화한 예이다.
이형태/이표기 내, 내, 내, , 마츰내, 마내, 마, 맛참, , 맛내, 맛, 맛츰, 참, 마내, 마참
세기별 용례
15세기 : (내)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1447 훈언 2ㄴ
16세기 : (내)
그러호로 은혜 내 몯니 ≪1518 번소 7:44ㄴ
17세기 : (내, 내, 내)
힘과  즌믈어 허여디여 내 폐인 되리 만니 ≪1608 언두 하:61ㄴ
몸으로 믈 원더니 내 해호믈 니브니라 ≪1617 동신속 효8:2ㄴ≫
도적이 려 내 바회 아래 려뎌 주그니라 ≪1617 동신속 열3:62ㄴ≫
18세기 : (내, , 내, 맛참, 츰내, 마내, 마, 내)
내 엇디 공부 드리리잇고 ≪1721 오륜전비 1:23ㄱ
내 엇디 뎌만 못리오 고  굴머 죽으니라 ≪1797 오륜 충:61ㄱ
엿온 바 각샤 내 만히 놋 배 잇더라 ≪1737 어내 2:39ㄱ
내 닐즉 슈 긔도지 아녀시되 이 에 맛 무양고 ≪1796 경신 32ㄱ
내 그 날 츰내 보내여 어듸 가 곳 도라오뇨 ≪1765 박신 3:40ㄴ
마내 生日이 季秋애 이심을 만나니 ≪1632 가언 10:41ㄱ
마 능히 일홈을 방의  번도 못거 쟈 다 신명이 그 지감을 아사 ≪1796 경신 25ㄱ
내 能히 本枝 챵셩야 크게 고 ≪1737 여사 3:78ㄱ-8ㄴ
19세기 : (내, , , 내, 맛내, 맛, 맛츰, 맛참, 참, 마내, 마, 마참)
공이 듕의 말을 디 아니고 내 갓가이 니 ≪1832 십구 2:10ㄴ
영이 후에 무로 더브러 고 멸고  무 셰오고 스스로 죽어 ≪1832 십구 2:37ㄴ
셔로 닷토와도  감히 그 예긔 거우지 못더니 ≪1883 이언 1:2ㄴ
그 육신을 고로이 다가 내 치명엿시니 ≪1865 주년 62ㄱ
내가 씨앗 그의게 렷매 맛내 거둘터이니 ≪1894 천로 상:103ㄴ
맛 슈 두루혀 그 집의 니니 ≪1852 태상 3:20ㄱ
셩뎐 에셔 본 바 이물 알문 형용으로써 보이고 맛츰 벙얼이 되다라 ≪1887 성전 누가복음 1:22
발키 나타나는 거시 이르고 느지나 복이 맛참 림니 ≪1883 명성 23ㄱ
이 노 因緣야 참 산양군의게 잡힌  되얏소이다 ≪1896 심상 2:36ㄱ
동관 등으로 더부러 변방의 틈을 오니 마내 즁원이 란지라 ≪1852 태상 1:44ㄴ
일노 인여 마 크게 쓰이지 못엿더라 ≪1852 태상 4:1ㄴ
마참내 適 ≪1895 국한 105
임의 넘치고 임의 위 마참 직희기 어려온니 ≪1881 조군 38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