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드디어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무엇으로 말미암아 그 결과로.
드디어 시험이 끝났다.
내일이면 드디어 방학이다.
드디어 적의 성벽이 뚫렸다.
결승전은 드디어 시작되었다.
꿈에 그리던 내 집을 드디어 마련했다.
무언가를 마음속으로 망설이다가 드디어 결심이 선 듯 다시 입을 여는 그의 목소리도 한결 정감 어린 것이었다.≪이문열, 영웅시대≫
처음으로 남편은 눈물을 흘렸고 드디어 그것은 통곡으로 변했다.≪박경리, 토지≫
좌중은 킥킥거리며 웃음을 참는 듯한 소리가 나더니 드디어 와 웃음보가 터졌다.≪김용성, 리빠똥 장군≫
언덕을 넘어 비탈로 내려서자 드디어 세웅의 눈앞에 그의 오막집과 도수장 지붕이 환히 보인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드듸여(16세기~19세기)>드디여(19세기)>드디어(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드디어’의 옛말인 ‘드듸여’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드듸여’는 “디디다”의 의미인 ‘드듸-’에 연결 어미 ‘-어’가 결합한 형태가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19세기에는 ‘드듸여’의 제2음절 모음 ‘ㅢ’가 ‘ㅣ’로 변화하여 ‘드디여’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드디여’의 제3음절 모음에서 반모음이 탈락하면서 ‘드디어’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드여’는 ‘드듸여’의 제2음절 모음이 ‘ㆎ’로 나타난 것인데, 15세기의 ‘드듸다’가 16세기 이후에 ‘드다’로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의 ‘드드여’는 ‘드듸여’의 제2음절 모음 ‘ㅢ’에서 반모음 ‘ㅣ’[y]가 탈락한 것이고, ‘드듸어’는 ‘드듸여’의 제3음절 모음 ‘ㅕ’에서 반모음 ‘ㅣ’[y]가 탈락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드듸여, 드여, 드드여, 드듸어, 드디여
세기별 용례
16세기 : (드듸여, 드여)
오 촌이라 홀 해 가 자시고 이틋날 드듸여 게셔 분토애 졔시고 ≪1510년대 번박 상:64ㄴ-65ㄱ
遂 쇠올 슈 드듸여 슈 ≪1576 신합 하:29ㄴ
或 병난 避  치니 드여 시러곰 다 환난에 보젼니라 ≪1588 소언 6:18ㄴ
17세기 : (드듸여, 드여, 드드여, 드듸어)
우리 征이 드듸여 至도다 ≪1613 시언 8:11ㄱ
네 아비 황쳔 아래 가 조믈 원노라 고 드여 뇽흥강의 뎌 주그니라 ≪1617 동신속 열4:6ㄴ≫
내 홀노 살면 텬디 간의  조인이라 고 드드여 스스로 목 여 라 주그니라 ≪1617 동신속 열6:16ㄴ≫
主人이 贊者 揖여든 贊者ㅣ 답揖라 主人이 드듸어 揖야 行거든 ≪1632 가언 3:8ㄱ
18세기 : (드듸여, 드여, 드드여)
두 夫婦ㅣ 이제 니히 드듸여 反目홈을 일웟니이다 ≪1721 오륜전비 6:5ㄱ
엄의 거울 집의 녀흐되 다 몰랏더니 드여 상 밧드러 도라가 ≪1737 어내 3:30ㄱ
妾은 王義예 죽고 王 즐김애 죽디 아니노이다 고 드드여 스스로 죽으시니라 ≪1737 어내 2:26ㄱ
19세기 : (드듸여, 드여, 드디여)
계의게 가 오 우리 임금의 아이라 야 계 드듸여 셔다 ≪1832 십구 1:24ㄱ
양ㅣ 나갈 구야 양을 어더 드여 죽이다 ≪1832 십구 2:43ㄴ
너 온젼이 죄에셔  거시 도리여 우리 갈아칠나냐 고 드디여 더라 ≪1887 성전 요한복음 9:34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