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드디어

- 품사
- 「부사」
- 「001」무엇으로 말미암아 그 결과로.
- 드디어 시험이 끝났다.
- 내일이면 드디어 방학이다.
- 드디어 적의 성벽이 뚫렸다.
- 결승전은 드디어 시작되었다.
- 꿈에 그리던 내 집을 드디어 마련했다.
- 무언가를 마음속으로 망설이다가 드디어 결심이 선 듯 다시 입을 여는 그의 목소리도 한결 정감 어린 것이었다.≪이문열, 영웅시대≫
- 처음으로 남편은 눈물을 흘렸고 드디어 그것은 통곡으로 변했다.≪박경리, 토지≫
- 좌중은 킥킥거리며 웃음을 참는 듯한 소리가 나더니 드디어 와 웃음보가 터졌다.≪김용성, 리빠똥 장군≫
- 언덕을 넘어 비탈로 내려서자 드디어 세웅의 눈앞에 그의 오막집과 도수장 지붕이 환히 보인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드듸여(16세기~19세기)>드디여(19세기)>드디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드디어’의 옛말인 ‘드듸여’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드듸여’는 “디디다”의 의미인 ‘드듸-’에 연결 어미 ‘-어’가 결합한 형태가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19세기에는 ‘드듸여’의 제2음절 모음 ‘ㅢ’가 ‘ㅣ’로 변화하여 ‘드디여’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드디여’의 제3음절 모음에서 반모음이 탈락하면서 ‘드디어’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드여’는 ‘드듸여’의 제2음절 모음이 ‘ㆎ’로 나타난 것인데, 15세기의 ‘드듸다’가 16세기 이후에 ‘드다’로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의 ‘드드여’는 ‘드듸여’의 제2음절 모음 ‘ㅢ’에서 반모음 ‘ㅣ’[y]가 탈락한 것이고, ‘드듸어’는 ‘드듸여’의 제3음절 모음 ‘ㅕ’에서 반모음 ‘ㅣ’[y]가 탈락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드듸여, 드여, 드드여, 드듸어, 드디여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