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봄

- 품사
- 「명사」
- 「001」한 해의 네 철 가운데 첫째 철. 겨울과 여름 사이이며, 달로는 3~5월, 절기(節氣)로는 입춘부터 입하 전까지를 이른다.
- 겨울이 가고, 봄이 왔다.
- 꽃 피는 봄이다.
- 어느 해 봄에 그는 웬 젊은 여자 하나를 데리고 들어왔다.≪이기영, 고향≫
- 이곳의 겨울은 눈으로 시작되어 눈이 녹으면서 봄으로 바뀐다.≪홍성원, 육이오≫
- 봄도 거의 다 가고 초여름의 어느 공휴일에 가족들과 모처럼 인천으로 바닷바람을 쐬러 갔다.≪임동권, 끈 떨어진 뒤웅박≫
- 내장산의 빨치산들이 모두 소탕된 다음 해 봄에도 마을 사람들은 마음대로 산속을 드나들 수는 없었다.≪최인호, 지구인≫
- 그는 아침에 눈을 뜨기가 바쁘게 봄에서 겨울까지 어느 날이고 까치 소리를 듣는 것이다.≪이정환, 샛강≫
- 어느덧 봄은 가고 있었다. 달갑지 않은 봄이긴 했지만 가는 봄이 아쉽지 않을 까닭이 없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대지는 봄을 맞기 위하여 서두르는 것 같았고 까치 소리가 유난히 울려오곤 했다.≪박경리, 토지≫
- 다만 국군 중령으로 있는 이모부가 떠올랐으나, 지난해까지만 해도 서울 근교 부대에 있다가 그 봄에야 서울로 옮겨 와 집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았다.≪이문열, 변경≫
- 서커스는 봄이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중부 지방으로 올라왔다. 대도시 중심의 공연이 시작되는 것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지방에서는 공연이 되지 않았다.≪한수산, 부초≫
- 이듬해 겨울까지는 희숙이 다니면서 학비를 전해 주는 대로 받아쓰곤 하더니, 그다음 해 봄에는 어디론가 방을 옮겨 버렸고, 자원해서 군대엘 가 버렸다. 그 뒤로는 그에게서 소식이 없어졌다.≪한승원, 해일≫
역사 정보
봄(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봄’은 15세기부터 형태의 변화 없이 현재까지 계속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봄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7)
- 관용구봄(을) 타다
- 봄철에 입맛이 없어지거나 몸이 나른해지고 파리해지다.
- 아이가 봄을 타는지 통 밥을 먹지 않는다.
- 처음 한두 번은 봄을 타는가 여겨 대수롭지 않게 넘기던 그 아버지도 사흘째가 되자 근심이 되어 원인을 물었다.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속담봄 꿩이 제바람에 놀란다
- 자기가 한 일에 자기가 놀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제 방귀에 놀란다’
- 속담봄 꿩이 제 울음에 죽는다
- 꿩이 소리를 내어 자기가 있는 곳을 알려 죽게 된다는 뜻으로, 제 허물을 제가 드러냄으로써 화를 스스로 불러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도 한철 꽃도 한철
- 청춘은 누구에게나 한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봄꽃도 한때’
- 속담봄 돈 칠 푼은 하늘이 안다
- 농촌에서는 봄에 돈이 매우 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 떡은 들어앉은 샌님도 먹는다
- 먹을 것이 궁한 봄철에 해는 길고 출출하니 점잔만 빼고 들어앉은 샌님도 떡을 먹고 싶어 한다는 뜻으로, 봄에는 누구나 군것질을 좋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 떡은 버짐에도 약이라
- 봄 떡은 버짐에 약으로 쓸 만큼 소중하다는 뜻으로, 봄철에는 식량이 귀하다는 말.
- 속담봄 방 추우면 맏사위 달아난다
- 봄철에 방이 추우면 견디기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 백양 가을 내장
- 봄에는 백양산 비자나무 숲의 신록이, 가을에는 내장산의 단풍이 절경이라는 말.
- 속담봄 보지가 쇠 저를 녹이고 가을 좆이 쇠판을 뚫는다
- 봄에는 여자가, 가을에는 남자가 춘정(春情)이 높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 소나기 삼 형제
- ‘소나기 삼 형제’의 북한 속담.
- 속담봄에 깐 병아리 가을에 와서 세어 본다
- 봄에 깬 병아리를 중병아리가 되는 가을에 가서야 그 수를 세어 본다는 뜻으로, 이해타산이 어수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에는 생말가죽이 마른다
- 봄철에는 일반적으로 날씨가 매우 메마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에 씨 뿌려야 가을에 거둔다
- 어떤 일이든지 제때에 대책을 세우고 공을 들여야 그만큼 성과를 거두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가을에 내 아비 제도 못 지내거든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가을에 못 지낸 제사를 봄에는 지낼까’ ‘가을에 친아비 제사도 못 지냈는데 봄에 의붓아비 제사 지낼까’
- 속담봄에 하루 놀면 겨울에 열흘 굶는다
- 한 해 농사의 첫 시작인 봄철에 씨를 뿌릴 때에 게으름을 부리면 그만큼 농사가 안되어 열흘을 굶는다는 뜻으로, 봄철 농사가 매우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봄 조개 가을 낙지
- 봄에는 조개, 가을에는 낙지가 제철이라는 뜻으로, 제때를 만나야 제구실을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