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밉따발음 듣기]
활용
미워[미워발음 듣기], 미우니[미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형용사」 【…이】
「001」모양, 생김새, 행동거지 따위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눈에 거슬리는 느낌이 있다.
나는 세상에서 거짓말하는 사람이 가장 밉다.
나는 그가 잘난 체하는 게 미워 고개를 돌려 버렸다.
미우나 고우나 자식이니 어쩌겠니.
젊고 결기 센 김덕령 장군은 더한층 장쇠 아비를 밉게 보았다.≪박종화, 임진왜란≫
삼열이는 이 남자의 죄가 아니라고 이해하면서도, 딱 만나니 역시 걷잡을 수 없는 질투에 미운 생각부터 드는 것이다.≪염상섭, 대를 물려서≫
보살펴 주어야 할 갈 곳 없는 고아들이지만 미울 때도 있고 성가실 때도 있는 것이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길상은 또다시 그 말을 하고 있는 자신이 미웠고 딱했다.≪박경리, 토지≫
그는 새 아빠와 엄마가 미우면 집을 박차고 책가방을 싸 들고는 독일 할머니 집으로 달려갔다.≪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대위는 중사가 미워 못 견디겠다는 듯 상을 잠깐 외면을 하고서 한국의 탤런트가 웃고 있는 달력만 바라보았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관련 어휘

비슷한말
싫다
지역어(방언)
미웁다(전라, 충남), 미다(제주)
옛말
믭다

역사 정보

믭다(15세기~19세기)>밉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밉다’의 옛말인 ‘믭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믭다’는 “미워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믜-’에 형용사파생접사 ‘-ㅸ-’이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에 ‘믭다’는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났는데, 15세기 중엽 이후에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면서 ‘-’은 ‘믜우-’로 변화하여, ‘믭-/믜우-’의 이형태 교체를 보이는 ㅂ 불규칙용언이 되었다(15, 16세기 문헌에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믭-’이 쓰인 예가 보이지 않는다). 19세기에는 자음 뒤에서 이중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현대 국어와 같은 ‘밉다’ 형태가 나타나 오늘날에 이른다. 한편 18~19세기 문헌에는 ‘뮙다’의 예도 나타나는데, 이는 양순음 ‘ㅁ’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를 겪은 형태이다.
이형태/이표기 믭-, -, 믜우-, 뮙-, 뮈우-, 밉-, 미우-
세기별 용례
15세기 : (-, 믜우-)
 주겨 夜叉羅刹 等을 이바며 믜 사 일훔 쓰며 얼구를 라 모딘 呪術로 빌며 ≪1447 석상 9:17ㄱ
서르 慈心 내야 믜 미 업고 各各 깃거 서르 饒益긔 리라 ≪1459 월석 9:36중 ㄴ
寃讎 믜우니 몯 苦와 오니 여희 苦와 求 得디 몯 苦와 ≪1461 능엄 7:43ㄱ
法愛도 매 두디 아니면 漸次로 어루 일우리니 내 모미 本來 잇디 아니커니 믜우며 오미 어듸브터 나리오 ≪1465 원각 하 1-1:19ㄱ
16세기 : (믜우-)
어딘 사 조라이 홀 듸도 며 저픈 도 며 오니도 왼 이를 알며 믜우니도 어딘 이를 알며 ≪1518 번소 4:3ㄱ-ㄴ
닐굽재 아 거시니 내 모매 믜우니 고오니  거시라 ≪1569 칠대 2ㄴ
17세기 : (믭-, 믜우-)
내 衣裳과 니블  보흘 다 텨시니 믭기 내 올흔 곳이 업세라 ≪1677 박언 중:56ㄴ
뎌 믜워 당티 못여 더니 어제 뎌 놈이 내 집의 왓거늘 내 부러 술을다가 뎌의게 브으니 爛醉여 눈이 밤의여 동셔 분변티 못고 ≪1677 박언 중:47ㄱ
18세기 : (믜우-, 믜오-, 뮙-, 뮈우-, 뮈오-)
달은 사의 跳梁미 可히 믜워 尊長을 咆哮야 辛을 說고 苦 道며 블너도 오디 아니고 주리고 치워도 도라보디 아니을 호디 말올디니 ≪1737 여사 2:19ㄱ
리 셰간에 믜온 즘이로 혹 믈 그 진 양을 보면 부 건져 그애 나  양을 보며 ≪1762 어경 6ㄱ
賴皮 믜온 놈 ≪1775 역보 19ㄴ
惡他 뮈워다 喝退 우리쳐 물리치다 厭物 뮈운 것 ≪1775 역보 20ㄴ
惡他 뮈여다 可惡的 뮈온 것 可憎 뮙다1748 동해 하:33ㄴ
아가 너모 슬거워도 뮙거니와 이 놈은 죠곰도 간이 업오매 부리기 거복외 ≪1790 인어 2:6ㄱ
19세기 : (뮙-, 뮈우-, 뮈오-, 밉-, 미우-)
그 디방 사이 셩인의 처음과 나죵이 지 아님을 뮙게 보아 죽이기로 꾀거 교우들이 셩인을 초아 밤에 셩을 넘기니 ≪1865 주년 75ㄴ
거 덕의 밧겻 형샹은 곱고 아다온 듯나 그 안흔 더럽고 뮈운지라1892 성직 18ㄱ
일은 텬상과 디하에 오직  텬쥬ㅣ 홀노 랑온 쟈 샹 주시고 뮈온 쟈 벌 시니 ≪1892 성직 101ㄱ
음에 몸을 리롭기만 각야 로 밉고 투긔믈 며 후 게 일우지 못되 스로 져바리고 ≪1880 삼성 23ㄱ
밉다 憎 ≪1895 국한 128≫
너희 션지 다녈이 말  포학고 미운 물건이 셩디에셔 사물 보리니 오이 쟈 명라 ≪1887 성전 마태 24:15

관용구·속담(33)

속담미운 강아지 우쭐거리며 똥 싼다
미운 강아지는 조용히 있는 것도 눈에 거슬리는데 오히려 똥을 싸면서도 우쭐거려 더욱 밉다는 뜻으로, 미운 자가 유난히도 보기 싫고 미운 짓만 골라 하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미운 개가 주걱 들고 조왕에 오른다
미운 개가 못되게도 밥주걱을 물고서 부엌 귀신을 위해 두는 조왕에 오른다는 뜻으로,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미운 계집이 달밤에 삿갓 쓰고 다닌다
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의 북한 속담.
속담미운 년이 겸상을 한다
미운 사람 보기도 싫은데 오히려 마주 보며 식사를 한다는 뜻으로, 보기 싫은 사람과 정면으로 대하게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미운 놈 떡 하나 더 주고 우는 놈 한 번 더 때린다
미운 놈은 미워한다는 것이 알려지면 뒤에 화를 입을 수 있어서 마지못해 떡 하나를 더 주지만 우는 놈은 당장 듣기 싫어서 울음을 멈추라고 한 대 더 때리게 된다는 뜻으로, 미운 놈보다 우는 놈이 더 귀찮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미운 놈 보려면 길 나는 밭 사라
길이 나는 밭을 사면 길 가는 사람들이 농작물을 밟고 가므로 길 나는 밭을 산 사람은 미운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된다는 말.
속담미운 놈 보려면 딸 많이 낳아라
사위를 보려면 보기 싫은 짓도 많이 보게 된다는 말.
속담미운 놈 보려면 술장수 하라
술장수를 하면 술을 먹고 주정을 하는 미운 사람을 많이 보게 된다는 말.
속담미운 놈이 도리질한다
미워하는 자가 꼴사납게 제 딴에는 재롱을 부린다고 갓난아이 놀음인 도리질까지 한다는 뜻으로, 밉다니까 더욱 보기 싫은 짓만 자꾸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미운 마누라가 죽젓광이에 이 죽인다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만 골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 ‘미운 벌레 모로 긴다’ ‘밉다니까 떡 사 먹으면서 서방질한다’ ‘흉한 벌레 모로 긴다
속담미운 벌레 모로 긴다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만 골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 ‘미운 마누라가 죽젓광이에 이 죽인다’ ‘밉다니까 떡 사 먹으면서 서방질한다’ ‘흉한 벌레 모로 긴다
속담미운 사람 고운 데 없고 고운 사람 미운 데 없다
한번 좋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좋게만 보이고, 한번 밉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밉게만 보인다는 말. <동의 속담> ‘고운 사람 미운 데 없고 미운 사람 고운 데 없다’ ‘사랑하는 사람은 미움이 없고 미워하는 사람은 사랑이 없다
속담미운 사람에게는 쫓아가 인사한다
미운 사람일수록 잘해 주고 감정을 쌓지 않아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아이[놈] 떡 하나 더 준다’ ‘미운 아이 먼저 품어라’ ‘미운 쥐도 품에 품는다
속담미운 아이[놈] 떡 하나 더 준다
미운 사람일수록 잘해 주고 감정을 쌓지 않아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사람에게는 쫓아가 인사한다’ ‘미운 아이 먼저 품어라’ ‘미운 쥐도 품에 품는다
속담미운 아이 먼저 품어라
미운 사람일수록 잘해 주고 감정을 쌓지 않아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사람에게는 쫓아가 인사한다’ ‘미운 아이[놈] 떡 하나 더 준다’ ‘미운 쥐도 품에 품는다
속담미운 열 사위 없고 고운 외며느리 없다
사위는 열이라도 밉지 않은데 며느리는 하나인데도 곱지 않다는 뜻으로, 사위는 무조건 귀히 여기고 아끼나 며느리는 아무리 잘해도 아껴 주지 않는 시어머니의 심리를 이르는 말.
속담미운 일곱 살
어린아이들은 일곱 살을 전후로 말썽을 제일 많이 일으킨다는 말.
속담미운 자식 밥 많이 먹인다
미울수록 더 친절히 하고 생각하는 체라도 하여야 저편의 감정을 상하지 않고 후환도 없다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자식 밥으로 키운다
속담미운 자식 밥으로 키운다
미울수록 더 친절히 하고 생각하는 체라도 하여야 저편의 감정을 상하지 않고 후환도 없다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자식 밥 많이 먹인다
속담미운 정 고운 정
오래 사귀는 동안에 서로 뜻이 맞기도 하고 맞지 아니하기도 하였으나 그런저런 고비를 모두 잘 넘기고 깊이 든 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고운 정 미운 정
속담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
미워하는 중이 고깔을 바로 써도 미운데 오히려 모로 삐딱하게 쓰고 이렇게 멋을 부렸는데도 미운가 하고 묻는다는 뜻으로,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만 골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미운 마누라가 죽젓광이에 이 죽인다’ ‘미운 벌레 모로 긴다’ ‘밉다니까 떡 사 먹으면서 서방질한다’ ‘흉한 벌레 모로 긴다
속담미운 쥐도 품에 품는다
미운 사람일수록 잘해 주고 감정을 쌓지 않아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사람에게는 쫓아가 인사한다’ ‘미운 아이[놈] 떡 하나 더 준다’ ‘미운 아이 먼저 품어라
속담미운 파리 잡으려다가 성한 팔이 상한다
밉게 구는 파리를 잡으려고 치다가 그만 성한 팔을 상하게 한다는 뜻으로, 나쁜 것을 없애려고 서툴게 행동을 하다가는 오히려 귀중한 것이 상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일을 잘 생각해서 해야 한다는 말.
속담미운 파리 치려다 고운 파리 상한다
좋지 않은 사람을 치려다 도리어 그렇지 않은 사람이 누를 입는다는 말.
속담미운 풀이 죽으면 고운 풀도 죽는다
어떤 좋지 않은 것을 없애 버리려면 거기에 적지 않은 희생도 따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미워도 내 남편 고와도 내 남편
좋으나 나쁘나 한번 정을 맺은 다음에야 말할 것이 없다는 말. <동의 속담> ‘고와도 내 님 미워도 내 님
속담밉다고 차 버리면 떡고리에 자빠진다
밉다고 차 버리니까 떡을 담아 놓은 그릇에 자빠져 도리어 잘되었다는 뜻으로, 미운 사람을 해친다고 한 일이 그자에게는 도리어 다행한 일이 되어 더욱 분이 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밉다니까 돈 꿔 달란다
미운 사람은 하는 짓마다 더 밉게만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밉다니까 저고리 안 고름감 사 달란다
속담밉다니까 떡 사 먹으면서 서방질한다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만 골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 ‘미운 마누라가 죽젓광이에 이 죽인다’ ‘미운 벌레 모로 긴다’ ‘흉한 벌레 모로 긴다
속담밉다니까 마주 선다
보기도 싫다니까 바득바득 마주 서며 보자고 한다는 뜻으로, 미운 사람이 더욱 밉살스럽게 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밉다니까 작두로 이마를 밀어 달란다
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의 북한 속담.
속담밉다니까 저고리 안 고름감 사 달란다
미운 사람은 하는 짓마다 더 밉게만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밉다니까 돈 꿔 달란다
속담밉다 하니 업자 한다
미운 자가 더 미운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