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실타

- 활용
- 싫어[시러



- 품사/문형
- 「형용사」 【…이】【-기가】
- 「001」마음에 들지 아니하다.
- 싫은 사람.
- 난 그 사람이 좋지도 싫지도 않다.
- 나는 수다스러운 사람이 싫다.
- 난 이제 다 싫어. 결혼도 싫고 줄 타는 것도 싫고.≪한수산, 부초≫
- 어쩌면 같은 학년이 될지도 모르니까 좋든 싫든 서로 친하게 지내야 되겠군.≪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 비가 오니 나가기가 싫다.
- 내 하는 일을 돕기 싫거든 간섭이나 하지 마요.≪이병주, 지리산≫
- 곤히 잠든 명훈을 귀찮게 하기 싫어 아침상만 차려 놓고 그냥 출근해 버린 모양이었다.≪이문열, 변경≫
- 방문을 닫고 둘이만 마주 앉기가 겁이 나서 싫기도 하였으나 일부러 닫았다.≪염상섭, 취우≫
- 먹기 싫은 음식.
- 보기 싫어. 나가!
- 이곳에 더 있고 싶어. 이렇게 일찍 돌아가긴 싫어.
역사 정보
슬다(15세기~18세기)>슳다(17세기~19세기)>싫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싫다’의 옛말인 ‘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어미 ‘-아’와 결합할 때에는 ‘슬야’로 나타나나, 그 밖의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어간말 모음 ‘ㆍ’가 탈락한 ‘슳-’로 나타났다. 17세기에는 어미 ‘-아’와 결합할 때에도 ‘슳-’이 쓰인 예가 나타나 어간이 ‘슳-’로 단일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에 치찰음 ‘ㅅ, ㅈ, ㅊ’ 뒤에서 모음 ‘ㅡ’가 ‘ㅣ’로 변하는 전설모음화가 일어나 ‘슳다’는 ‘싫다’로 변화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슬다, 슳다, 싫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4)
- 속담싫은데 선떡
- 원래 먹기 싫은 떡인데 더구나 설기까지 했다는 뜻으로, 몹시 마음에 내키지 않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속담싫은 매는 맞아도 싫은 음식은 못 먹는다
- 다른 것은 몰라도 음식 싫은 것은 도저히 먹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맞기 싫은 매는 맞아도 먹기 싫은 음식은 못 먹는다’
- 속담싫은 밥은 있어도 싫은 술은 없다
- 술을 몹시 좋아하는 사람이 술이 최고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싫은 춤에 지게 지고 엉뎅이춤 춘다
- 하기 싫은 일에 억지로 참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