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코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콧구멍에서 흘러나오는 액체.
코를 닦다.
코를 훌쩍거리다.
코를 풀다.
문을 따 주는 애는 열 두어 살 됨직한 소녀였는데 감기에라도 걸렸는지 연방 코를 훌쩍이고 있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역사 정보

곻(15세기~17세기)>콯(16세기~19세기)/코(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코’의 옛말인 ‘곻’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ㅎ종성체언’으로서 ‘곻/고’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6세기에는 어두 유기음화를 겪은 ‘코’ 형태가 등장하여 17세기까지는 ‘곻/고’와 ‘콯/코’의 두 형태가 공존하였다. 이미 16세기부터 ‘코와, 코’ 등의 예에서 보이듯이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코’ 형태가 쓰였는데, 19세기까지는 ‘콯’ 형태도 여전히 나타났다.
이형태/이표기 곻, 고, 콯, 코
세기별 용례
15세기 : (곻, 고)
여슷 가짓 드트른 누네 빗 봄과 귀예 소리 드룸과 고해 내 마톰과 이베 맛 머굼과 모매 雜거시 범그룸과 데 法 이숌괘라 ≪1447 석상 13:38
諸根 여러 불휘니 눈과 귀와 고콰 혀와 몸과 괘라 ≪1447 석상 6:28ㄴ
世尊이 날와 俱絺羅 치샤 그텟  거슬 보라 야시 ≪1461 능엄 5:56ㄱ
16세기 : (곻, 고, 코)
고해 고 흐르니 고 내 리로고나 ≪1510년대 번노 하:19ㄱ
그테 미 업거든 마황을 더 녀코 ≪1541 우마 9ㄴ
귀와 눈과 코와 입과 의 알옴과 ≪1588 소언 3:7ㄱ
父母ㅅ 춤과 코  뵈디 아니며 ≪1588 소언 2:7ㄴ
17세기 : (곻, 고, 콯, 코)
아기  나며 고히 마켜 통티 몯야 져즐 디 몯거든 ≪1608 언태 75ㄱ
믈 머그면 마킨  니라 ≪1608 언두 상:49ㄱ
귀 덥디고 머리 초며 코히 븟 치 브으며 ≪17세기 마경 상:102ㄴ
조협 를 산부의 코애 부러 욤면 즉시 건니라 ≪1608 언태 60ㄱ
18세기 : (콯, 코)
온 집이 경황여 가 보고 코히 싀여 아니리 업니 ≪1797 오륜 열:21ㄴ
父母 춤과 코  뵈디 아니며 ≪1737 어내 1:41ㄱ
19세기 : (콯, 코)
깁흔 눈이오 놉흔 코히오 화 얼골이오 놉흔 니마오 ≪1865 주년 98ㄴ
눈은 누르고 입에 불을 토며 코에검은 연긔 뿜고 ≪1865 주년 100ㄴ-101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액체상위어본말/준말비수비액비체콧물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