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콘물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콧구멍에서 흘러나오는 액체.
콧물이 나오다.
콧물을 흘리다.
그 아이의 얼굴은 눈물, 콧물이 범벅이 되어 엉망이었다.
할머니는 손수건을 꺼내 우는 아이의 콧물을 닦아 주셨다.
영화가 한 절반쯤 돌려지고 날 무렵만 되면 여기저기서 훌쩍훌쩍 콧물을 들이마시는 소리가 나기 시작한다.≪박종홍, 새날의 지성≫
감기도 아닌데 콧물이 흐르고 눈에서는 쉴 새 없이 눈물이 흘러서 앞을 잘 분간할 수 없었다.≪이북명, 질소 비료 공장≫
빈속에 술만 들어부어서 눈물 콧물 흘려 가며 창자 끝이 묻어나도록 왝왝하고 헛구역질을 하는 것을 차마 볼 수가 없다.≪심훈, 영원의 미소≫

역사 정보

곳믈(15세기~17세기)>콧믈(16세기~18세기)>콧물(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콧물’의 옛말인 ‘곳믈’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곳믈’은 명사 ‘곻’과 관형격조사 ‘ㅅ’, 명사 ‘믈’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곻’은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 첫소리가 유기음이 되어 ‘콯, 코’가 되고 ‘믈’은 모음 ‘ㅡ’가 ‘ㅁ, ㅂ, ㅍ’ 아래에서 ‘ㅜ’가 되는 원순모음화를 겪어 ‘물’이 되었다. ‘곻’와 ‘믈’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15세기의 ‘곳믈’도 이와 같은 변화를 겪어 16세기에 어두 첫소리가 유기음이 되어 ‘콧믈’로 나타난다. 이후 근대국어 시기에 ‘ㅁ’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원순모음화 됨에 17세기에 ‘콧물’이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6, 17세기에 나타나는 ‘곤물, 콘물’과 같이 제1음절의 말음이 ‘ㄴ’으로 표기된 것은 ‘ㅅ’이 어말에서 ‘ㄷ’이 된 후 비음 ‘ㅁ’ 앞에서 비음으로 동화를 경험한 것이 표기에 반영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곳믈, 곤믈, 콧믈, 콘믈, 코ㅅ믈, 코믈, 코물
세기별 용례
15세기 : (곳믈)
콰 피와 과 믈와 곳믈와 춤과 고롬과 기름과 힘과 脈과 頭腦와 ≪1464 영가 상:35ㄴ
16세기 : (곳믈, 곤믈, 콧믈)
곳믈 톄 ≪1527 훈몽 상:15ㄴ
곤믈 톄 ≪1576 신증유합 상:22ㄴ≫
콧믈  ≪1527 훈몽 상:15ㄱ
17세기 : (곳믈, 콘믈, 코ㅅ물)
간장은 눈믈이오 폐장은 곳믈이오 심장은 피오 비장은 피를 니 ≪1608 언두 상:2ㄴ
 오 슈포과 농포 도니 콘믈 눌믈이 다 젹니 믈 헌로 조차 난디라 ≪1608 언두 상:3ㄱ
鼻涕 코ㅅ물1690 역해 상:33ㄱ
18세기 : (코믈, 코ㅅ믈)
홀노 외로온 등블을 야 코믈과 눈믈이 셔괴여 흐르니 ≪18세기 응진경 4ㄴ≫ --≫ 원문확≫
鼻涕 코ㅅ믈1778 방유 신부방언:16ㄴ
19세기 : (코물)
부모의 춤과 코물을 뵈이게 지 안너니라 ≪19세기 여소학 74≫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