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무얻

- 활용
- 무엇만[무언만

- 품사
- 「대명사」
- 「001」모르는 사실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 저 꽃의 이름은 무엇일까?
- 내게 무엇을 달라고 하였지?
- 그가 무엇 때문에 그렇게 고민을 하는지 궁금하다.
- 강가에 떠 있는 저 배들은 모두 다 무엇을 실은 배들입니까?≪박종화, 임진왜란≫
- 말바우 어미는 무엇부터 물어야 좋을지 몰라 그렇게 얼버무렸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무엇들을 하러 다니는 것인지 며칠동안 원근이와 경희는 수군거리며 분주히 돌아다니더니,….≪염상섭, 짖지 않은 개≫
- 시험이 끝나고 곧장 길고 긴 겨울 방학으로 들어가는 날의 해방감을 무엇에 비길까.≪박완서, 오만과 몽상≫
- 나는 무엇이 그녀로 하여금 내게 그토록 맹목적인 희생과 사랑을 가능케 하는지 알 길이 없었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 그런 건 가져다가 무엇에 쓰려고 그러니?
- 무엇을 그렇게 골똘히 생각하고 있니?∕.
- 그러나 아버지의 늦은 귀가가 무엇 때문이었는가를 물을 필요는 없었다. 그 점은 자명했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 또 대체 이자는 극비에 붙여지고 있는 폐광을 어디서 알았으며 그 말을 꺼내는 저의는 무엇인가.≪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준말
- 뭣
- 비슷한말
- 무어
역사 정보
므스것(15세기~18세기)>므섯(16세기~18세기)>므엇(16세기~18세기)>무엇(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무엇’의 옛말인 ‘므스것’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므스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므스’와 명사 ‘것’이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는 ‘므스것’에서 제2음절의 모음 ‘ㅡ’와 제3음절의 초성 ‘ㄱ’이 탈락한 후 축약된 ‘므섯’ 형태가 나타났고, 여기에서 다시 모음 사이의 ‘ㅅ’이 약화되어 탈락한 ‘므엇’ 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양순음 ‘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모음화에 따라 16세기에는 ‘므엇>무엇’으로 변화한 예도 나타나는데, 대체로 원순모음화가 17세기 이후에 일어난 것에 비해 이 경우는 다소 빠른 시기에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18세기까지는 ‘무섯’과 ‘무엇’이 공존하다가 19세기 이후로 ‘무엇’만 남아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중세국어에는 “무엇”을 의미하는 단어로 ‘므스것>므섯>므엇’과 함께 ‘므슥’, ‘므슴’도 존재하였는데(예: 보도 몯며 듣도 몯거니 므스기 快樂리고 ≪1447 석상 24:28≫, 世間ㅅ 드틀을 므슴만 너기시리 ≪1447 월곡 45ㄴ≫), ‘므슴’은 “무슨”의 의미를 지닌 관형사로도 쓰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므스것, 므섯, 므엇, 무엇, 무섯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