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까이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한 지점에서 거리가 조금 떨어져 있는 상태로.
가까이 가다.
이쪽으로 가까이 오너라.
그의 곁으로 가까이 다가갔다.
산은 한참 달아오른 훈김과 풀 냄새로 싱싱하고도 취하게 하는 몸 냄새를 풍긴다. 그 자리로 가까이 가면서 그녀는 숨이 가빠진다. 산길의 비탈 때문만은 아니다.≪최인훈, 우상의 집≫
마루 밑에는 사람들이 들어가다 못해 토방까지 엉덩이가 밀려 나왔다. 포탄은 멀리 가까이 계속 터지고 있었다. 포탄 터지는 소리가 멎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두 사람은 뭐라 말을 나누고 있었다. 내 눈 가까이 그 두 물체가 확실해지자 어머니는 도둑질하다 들킨 것처럼 후다닥 토머스의 팔을 뿌리쳤다.≪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자운은 힘을 내어 황금빛 광채가 온통 눈앞을 가로막는 곳 가까이 기어갔다. 그것은 금덩어리였다.≪문순태, 피아골≫
왕한은 물가로 가까이 내려가다가 무엇이 밟히면서 미끄러졌다.≪한용운, 흑풍≫
소 주인이 놀란 짐승을 진정시키기 위해 고삐를 두 손으로 잡은 채 자갈길을 약 십 미터 가까이 끌려갔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갓가(15세기)>갓가이(15세기~19세기)>가까이(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까이’의 옛말인 ‘갓가’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갓가’는 형용사 ‘갓-’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파생어이다. 15세기 중반 이후 ‘ㅸ’ 소리가 사라지면서 ‘갓가’는 ‘갓가이’로 변화하였다. 근대국어 시기에 ‘갓가이>가까이’의 변화가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나, 실제 문헌에는 19세기까지도 ‘갓가이’ 형태만이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갓가, 가, 갓가이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갓가, 가, 갓가이)
和尙 갓가 이셔 외오다 논 마리니 弟子ㅣ 녜 갓가 이셔 經 호아 외올 씨니 ≪1447 석상 6:10ㄱ
모미 솟라 돌해 드르시니  거우루 야 소개 겨신 그르메  뵈더니 머리 이션 보고 가 완 몯 보리러라 ≪1459 월석 7:55ㄱㄴ
優婆塞 優婆夷 닐오 佛法을 갓가이 셤기 男女ㅣ라 ≪1461 능엄 6:19ㄱ
16세기 : (갓가이)
머리셔 라매 노피 하해 다핫고 갓가이셔 보니 아라히 하햇 므레 겻니 ≪1510년대 번박 68ㄱ
 그 이 엿보디 말며 과 갓가이 야 서르 므더니 너기게 말며 ≪1518 번소 4:13ㄴ-14ㄱ
17세기 : (갓가이)
비린내 누린내 머리터럭  내 갓가이 마티디 말라 ≪1608 언두 하:43ㄱ
18세기 : (갓가이)
갓가이 오라 내 닐러든 네 드르라 ≪1721 오륜전비 2:7ㄴ
19세기 : (갓가이)
군 갓가이 고 쇼인을 먼리 며 ≪1883 이언 2:57ㄱ

관용구·속담(1)

속담가까이 앉아야 정이 두터워진다[가깝다]
사람은 서로 가까이 있으면서 자주 접촉해야 정이 더 깊어진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