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멀ː리

- 품사
- 「부사」
- 「001」한 시점이나 지점에서 시간이나 거리가 몹시 떨어져 있는 상태로.
- 앞일을 멀리 내다보다.
- 그는 멀리 도망갔다.
- 우리 가족은 서울과 멀리 떨어진 시골로 이사를 했다.
- 아이는 들고 있던 조약돌을 멀리 던져 버렸다.
- 그가 날린 타구는 포물선을 그리며 멀리 뻗어나갔다.
- 그녀를 태운 차는 희미한 가로등 밑을 지나 멀리 사라졌다.
- 나는 네가 멀리 미국까지 유학을 간다는 데는 찬성할 수 없다.
- 개동은 되도록이면 집에서 멀리 가 버리고 싶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앞이 툭 트이고 멀리 강이 보였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윤은 저 멀리 잔디밭에 앉아 있는 임 기자를 발견하고 그리로 다가가서 그 옆에 주저앉았다.≪선우휘, 깃발 없는 기수≫
- 기름을 부은 듯 매끄러운 바다, 바다 위에 달빛이 희번덕이고 멀리 등대 섬의 등댓불이 깜박이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 그가 자라면서 들은 말로는 처가와 뒷간은 멀리 있을수록 좋다고 했던 것이다.≪이상문, 황색인≫
- 초소가 길목이나 산등성이에 있다면, 멀리 돌아서라도 그곳을 슬쩍 피할 수가 있다.≪홍성원, 육이오≫
- 남자들같이 멀리 사냥을 나가지는 못하였으나, 연두는 곧잘 자그마한 칼을 품고 가까운 산속을 헤매기를 잘하였다.≪박용구, 산울림≫
- 발밑에서는 바위에 은가루처럼 밀려온 파도가 부서지고 멀리 수평선 위에는 엷은 구름이 고요히 흐르는 달빛을 이고 그림처럼 떠 있었다.≪오상원, 백지의 기록≫
역사 정보
머리(15세기~17세기)>멀리(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멀리'의 옛말인 '머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머리'는 '멀다'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종성 'ᄅ'이 추가된 '멀리'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멀니'는 '멀리'의 어중 'ᄅᄅ'을 'ᄅᄂ'으로 표기한 것이다. 17세기의 '멀이'는 '머리'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머리, 멀니, 멀이, 멀리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