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창자

- 품사
- 「명사」
- 분야
-
『의학』
- 「001」큰창자와 작은창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창자가 꼬이다.
- 창자가 꿈틀거리다.
- 고무호스가 입에 박혀 있었고 나는 창자 속까지 뚫고 들어오는 그 호스를 뱉어 내느라고 온몸을 뒤틀며 괴로워하다가 잠을 깼다.≪전상국,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창지-머리(강원), 창사(경기, 경남, 전라, 충북), 창사구(경기, 경상, 충청), 창수(경기, 경남), 창자귀(경기), 창자기(경기), 창주(경기), 양티이(경남), 창소(경남), 창식(경남), 창싸(경남, 중국 흑룡강성), 창지(경남, 제주), 굴-창(경북), 창다구(경북), 창씨(경북, 전북), 챙씨(경북), 챙이(경북), 챙지(경북), 창대기(경상, 전남, 중국 흑룡강성), 배-창시(전남, 제주), 창사기(전남), 창사우(전남), 창새기(전남, 충청), 창시(전남), 창시기(전남, 충남), 창아리(전남), 베살(제주), 베설(제주), 창기(제주), 창저(제주), 창재기(충남), 챙자(충남)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챵(16세기~19세기)>창(18세기~19세기)>창자(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창자’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는 한자어 ‘장자’(膓子)를 당시의 중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의 제1음절 종성 ‘ㆁ’은 ‘ㆁ’을 ‘ㅇ’이 대신함에 따라 16세기에 ‘챵’로 나타난다. ‘챵’는 치음이었던 ‘ㅊ’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챠’와 ‘차’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19세기 문헌에 ‘창’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창’도 이 변화를 겪어 ‘창자’가 되어 19세기 문헌에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 챵, 창, 창자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