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자바당기다발음 듣기]
활용
잡아당기어[자바당기어발음 듣기/자바당기여발음 듣기](잡아당겨[자바당겨발음 듣기]), 잡아당기니[자바당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잡아서 끌어당기다.
방아쇠를 잡아당기다.
밧줄을 잡아당기다.
문고리를 잡아당기다.
그는 벙거지를 잡아당겨 눈썹을 덮었다.≪박영한, 인간의 새벽≫
그는 나더러도 꿇어앉으라고 자꾸 내 손을 아래로 잡아당겼다.≪김용성, 도둑 일기≫
남자가 달려와서 그 가녀린 팔을 잡아당겼을 때 부인은 전신의 힘을 다하여 그 손을 물어뜯었다.≪한무숙, 만남≫
장정 둘이 상체를 뒤로 발딱 잦히고 도르렛줄을 힘껏 잡아당기고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역사 정보

자바다(15세기)>자바긔다(17세기)>잡아당기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잡아당기다’의 옛말인 ‘자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자바다’의 제3음절 받침 ‘ㆁ’은 15세기 문헌에서 [ŋ]을 나타내던 것이었는데 ‘ㆁ’을 ‘ㅇ’이 대신함에 따라 17세기 문헌에서부터 ‘자바긔다’가 보인다. ‘자바긔다’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어 20세기에 ‘잡아당기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제1음절과 제2음절을 분철하여 ‘잡아’가 된다. 일반적으로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긔다’의 제1음절 ‘’도 이 변화를 겪어 ‘당’이 되고 19세기에 이중모음 ‘ㅢ’가 자음 뒤에서 ‘ㅣ’로 변하였는데 제2음절 ‘긔’는 ‘기’가 되어 ‘당기다’로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자바다, 자바긔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자바다))
머리터럭  져봄 붇 만닐 자바면 즉재 살리라 ≪1489 구간 1:62ㄴ
17세기 : ((자바긔다))
졈졈 손으로 아긔 귀 자바긔야 바게 고 ≪1608 언태 23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