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버리다발음 듣기]
활용
버리어[버리어발음 듣기/버리여발음 듣기](버려[버려발음 듣기]), 버리니[버리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에】
「001」가지거나 지니고 있을 필요가 없는 물건을 내던지거나 쏟거나 하다.
휴지를 휴지통에 버리다.
쓰레기를 길거리에 버리다.
엄마 유리병은 돈이야. 그리고 나라의 재산이야. 쓰레기통에 넣지 말고 따로 모아서 유리병 처리장에 버려요.≪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나 형사는 손에 든 담배를 문간에 버리고 구둣발로 밟은 뒤 유모가 인도하는 대로 대청에 올라가 앉는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리다(15세기~19세기)>버리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버리다’의 옛말인 ‘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꾸준히 쓰이다가 19세기에 ‘버리다’가 등장하여 ‘리다’와 ‘버리다’가 서로 경쟁하며 쓰이다가 ‘ㆍ’의 음가 소실, ‘ㆍ’ 표기의 폐지 등의 영향으로 ‘버리다’가 쓰이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리다, 이다, 바리다, 버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리다)
世間 리시고 城 나마 逃亡샤 車匿이 돌아 보내샤 盟誓샤 道理 일워 도라오리라 시고 ≪1447 석상 6:4ㄴ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듣면 모딘 뎌글 리고 됴 法을 닷가 惡趣예 아니 디리니 ≪1447 석상 9:14ㄴ
내 五濁惡世예 에구든 衆生 敎化야 邪曲 리고1447 석상 11:6ㄱ
16세기 : (리다)
아란 일 인야 우리 뎌긔 오나든 小人을 리디 아니커시든 모로매 지부로 오고라 ≪1510년대 번노 상:44ㄴ
17세기 : (리다, 이다)
이믜 君子 보니 나 멀리 리디 아니놋다 ≪1613 시언 1:11ㄴ
범이 즉시 이고 니거 귀쳔이 어버 도라오니 ≪1617 동신속 효6:2ㄴ≫
18세기 : (리다, 이다, 바리다)
大官이 되나 老孃을 리고 일 迎養티 아니야 ≪1721 오륜전비 2:28ㄱ
臣의 被難  當여 臣의 아이 벼을 이고 救濟고 義弟 일홈 安克和ㅣ라 ≪1721 오륜전비 7:32ㄴ
 고향을 이지 말나 ≪1783 유호남민인등윤음 15ㄱ
마치 亂 내디니 즉시 바리디 아니면 내 반시 너 죽이리라 호니 ≪1737 어내 2:79ㄱ
져리나 으리나 념불 권 후 바리라1776 염보-해 20ㄱ
 후에 이곰 즉시 그 을 바리게 심은 대개 어린 셩이 입에 貪야 ≪1792 무원 3:52ㄱ≫
19세기 : (리다, 이다, 바리다, 버리다)
일노 조 연 심신이 불안니 병으로 인여 벼을 리고 고향으로 도라갈 ≪1852 태상 2:29ㄱ
얼헝 미ㅣ 조 간 좃디 아니흐거 이고 가고 ≪1832 십구 1:39ㄴ
포슉아ㅣ 관듕을 천거야 졍승을 삼은대 공이 원망을 바리고 다 ≪1832 십구 2:8ㄴ
가즁 사이 그 말을 좃 즉시 쥬챤을 만히 쟝만여  가온 버리더니1852 태상 2:18ㄴ

관용구·속담(1)

속담버린 밥으로 잉어를 낚는다
내버리는 밥을 미끼로 해서 귀하다고 하는 잉어를 낚는 큰 횡재를 한다는 뜻으로, 전혀 밑천을 들이지 않거나 적은 밑천을 들이고 큰 이익을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