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침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날이 새면서 오전 반나절쯤까지의 동안.
그는 아침 일찍 일어나는 편이다.
모처럼 휴일을 맞은 젊은이들은 이른 아침부터 극장 앞에 줄을 서 있었다.≪최인호, 돌의 초상≫
그러나 우암이는 낙망하지 않고 다음 날도 그다음 날도 아침과 저녁 하루에 두 차례씩 어김없이 움막에 음식을 가져다 두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조금 후에는 눈이 스르르 감기면서 곧 잠들어 버렸다. 다음 날 아침까지 다시는 깨지 않았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오늘 아침도 입은 깔깔하나 밥은 달게 먹었다.≪염상섭, 취우≫
꼬마 준이는 하루도 빠짐없이 아침마다 아버지를 돌려달라는 기도를 하고 있답니다.≪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그가 아침에 같이 데리고 넘어왔던 장정들을 합쳐 십여 명이 눈에 불을 켜고 돌아다니며 집을 뒤졌다.≪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역사 정보

아(15세기~19세기)>아츰(17세기~19세기)>아침(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침’의 옛말인 ‘아’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7세기에는 ‘아츰’ 형태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17~19세기 문헌에서 ‘아츰’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고 18세기까지도 주로 ‘아’ 형태가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ㅈ, ㅊ’ 뒤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아츰’이 ‘아침’으로 변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근대국어 문헌에는 ‘아’, ‘아츰’을 중철 표기한 ‘앗’, ‘앗츰’도 보이고,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지면서 ‘아참’으로 표기한 예도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아, 앗, 아츰, 앗츰, 아침, 아참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
太子ㅣ 아 예 八百里 녀샤 雪山 苦行林에 가시니 ≪1447 석상 3:30ㄴ
孔子ㅣ 니샤 아 道理 드르면 나조 주거도 리라 시니 ≪1447 석상 20:13ㄱ
16세기 : (아)
져믄 제 브터 어버일 효도야 아 나죄 問安을 게을이 아니야 ≪1514 속삼 효:33ㄱ
아 단 朝 아 됴 ≪1527 훈몽 상:1ㄴ
17세기 : (아, 아츰, 앗)
오 아 구룸이 머흐더니 낫 디나며브터 비 쁘리고 ≪1676 첩신-초 1:12ㄱ
노 아 구루미 니 아 비치 곧다온 郊甸에 소앗도다 ≪1632 두시-중 14:3ㄱ
오 앗 밥 먹은 곳애셔 팀 바다 가져 온 은이라 ≪1670 노언 상:59ㄱ
18세기 : (아, 앗)
아도 親을 각고 져믈게야도 각니 ≪1721 오륜전비 6:32ㄴ
오 앗 밥 먹은 곳에셔 자온 은이라 ≪1795 노언-중 상:60ㄱ
19세기 : (아, 아참, 앗, 아츰, 앗츰, 아침)
잇흔날 아에 다시 싸화 크게 이긔여 도라오고 ≪1865 주년 96ㄴ
아참 朝 아참에 아에 ≪1880 한불 11
앗 二時에 다다라 ≪1895 국민 49ㄴ
아츰에 졔사장과 셩의 쟝노가 함 도모여 ≪1887성전≫
앗츰에 즁군이 쟝교 보여 갈오 ≪1887 성전
아침 죠 朝 져녁 셕 夕 ≪1884 정몽 3ㄴ
아침 朝 ≪1895 국한 202

관용구·속담(4)

속담아침 아저씨 저녁 소 아들
농가에서 한창 바쁠 때 머슴의 비위를 맞추려고 아침에는 대접을 잘하지만 저녁에 일 끝나고 돌아오면 대접은커녕 함부로 대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아침 안개가 중 대가리 깬다
아침에 안개가 낀 날은 낮이 되면 중의 머리를 깰 정도로 햇빛이 쨍쨍하다는 말.
속담아침에 까치가 울면 좋은 일이 있고 밤에 까마귀가 울면 대변(大變)이 있다
아침에 까치가 울면 기쁜 일이 생기고 밤에 까마귀가 울면 좋지 못한 일이 생긴다는 말.
속담아침에 심은 곡식은 먹어도 저녁에 심은 것은 못 먹는다
아침에 심은 곡식은 땅에 습기가 있어서 씨가 자랄 수가 있지만, 하루 종일 햇볕에 마른 저녁 땅에는 씨가 제대로 붙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