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우

- 품사
- 「명사」
- 「001」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남자들 사이에서 손아랫사람을 이르는 말. 주로 남동생을 이를 때 쓴다.
- 네가 형으로서 네 아우를 가르치고 보살펴야 한다.
- 연년생으로 태어난 아우가 형보다 오히려 키가 크다.
- 형망제급이라고 하여 형이 아들 없이 죽으면 아우가 형 대신 혈통을 잇기도 했고, 또 큰형이 후사 없으면 아우의 맏아들로 양자를 삼기도 했다.≪최명희, 혼불≫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아(15세기~17세기)>아(16세기~19세기)>아우(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우’의 옛말인 ‘아’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는 단독으로 쓰이거나 조사 ‘-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아’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ㅇ, 앗ㅇ’으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그런데 이미 16세기 문헌에 ‘아’과 같이 기존에 ‘ㅇ, 앗ㅇ’이 쓰이던 환경에서 ‘아>아’가 쓰인 예가 나타나 이 무렵부터 ‘아’ 형태로 단일화 하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한편 16세기에 ‘ㅿ’이 소멸하면서 ‘아’가 ‘아’로 나타나고,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바꾸는 ‘ㆍ’의 제1단계 소실에 따라 17세기에는 ‘아으’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후 19세기에 와서 제2음절 모음이 ‘ㅜ’로 바뀐 ‘아우’가 나타나 오늘날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아, ㅇ, 앗ㅇ, 아, 아으, 아오, 아우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관용구아우(를) 타다
- 동생이 생긴 뒤에 아이가 몸이 여위다.
- 어머니는 둘째 때문에 첫째가 아우를 타지 않도록 조심하라 이르셨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