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흔

- 품사
- 「수·관」
- 「001」열의 네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 내년이면 나도 마흔이다.
- 나이 마흔에 새로운 직장을 얻기도 한다.
- 마흔이 넘으면 인생을 좀 알 때도 되었다.
- 아직 마흔도 안 된 나이인데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고, 잠도 자지 못했다.≪조세희, 육교 위에서≫
- 마흔 살.
- 마흔 명.
- 마흔 마리.
- 그는 장미꽃 마흔 송이를 생일을 맞은 아내에게 선물했다.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사십(四十)
- 지역어(방언)
- 마은(강원, 경상, 전라, 제주, 충청, 함경, 중국 길림성), 마건(경남), 마근(경남), 마훈(경남, 전라, 충청), 만(경북), 마온(경상, 전남), 마한(경상), 마혼(경상, 전남, 중국 흑룡강성), 마운(전라)
- 옛말
- 마
역사 정보
마(15세기~16세기)>마(16세기~17세기)>마은(17세기~19세기)>마흔(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흔’의 옛말인 ‘마’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ㅿ’이 사라지면서 ‘마’으로 변화하였고,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7세기에는 ‘마은’ 형태도 등장하였다. 18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마흔’ 이 나타났는데, 이는 ‘서른’의 옛말인 ‘셜흔’에서 유추되어 나타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마, 마, 마은, 마흔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