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쌀

- 품사
- 「명사」
- 「002」멥쌀을 보리쌀 따위의 잡곡이나 찹쌀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쌀만 먹는 것보다는 잡곡을 섞어 먹는 게 건강에 좋다.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18세기~19세기)>쌀(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쌀’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ㅂ’계 합용 병서인 ‘ㅄ’은 15세기 국어에서 된소리가 아니라 [ps]로 발음되었다. 현대 국어의 ‘햅쌀, 좁쌀’ 등에 있는 ‘ㅂ’ 받침은 ‘’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다. ‘햅쌀’은 기원적으로 ‘해+’이기 때문에 현대 국어에서 ‘해쌀’로 적지 않고 ‘햅쌀’로 적는 것이다. ‘’은 18세기 들어 ‘’이 나타나는데 이는 근대 국어 시기에 ‘ㅂ’계 합용 병서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에 의한 것이다. ‘ㆍ’의 음가가 소실되면서 1음절의 ‘ㆍ’가 ‘ㅏ’로 바뀌어 ‘쌀’이 된다. |
---|---|
이형태/이표기 | , , 쌀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7)
- 속담쌀 먹은 개 욱대기듯
- 좋지 못한 짓을 한 사람이 오히려 거칠게 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쌀에 뉘 (섞이듯)
- 많은 가운데 아주 드물게 섞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쌀에서 뉘 고르듯
- 많은 것 가운데 쓸모없는 것을 하나하나 골라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쌀은 쏟고 주워도 말은 하고 못 줍는다
- 쌀은 쏟아도 주울 수 있으나 말은 다시 수습할 수 없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살은 쏘고 주워도 말은 하고 못 줍는다’
- 속담쌀 주머니를 들고[메고] 다닌다
- 쌀자루를 들고 여기저기 동냥하러 다닌다는 뜻으로, 쌀을 꾸러 다니거나 빌어먹으러 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쌀 한 알 보고 뜨물 한 동이 마신다
- 적은 이익을 위하여 노력이나 경비가 지나치게 많이 들어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