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멥쌀

- 품사
- 「명사」
- 「001」메벼를 찧은 쌀.
- 멥쌀 닷 말.
- 양력설인데 서흥수네는 양력설 명절에 돼지 한 마리, 닭도 여러 마리를 잡을 뿐 아니라 쌀도 찹쌀, 멥쌀 합하여 다섯 가마니를 떡을 하고 술을 거른다고 하였다.≪최정희, 풍류 잡히는 마을≫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갱-백미(秔白米/粳白米), 갱미(秔米/粳米), 경-백미(粳白米), 경미(粳米), 쌀
- 반대말
- 점미(粘米)
- 지역어(방언)
- 뫼-쌀(강원, 경기), 멘-살(경남), 멘-쌀(경남), 밉-쌀(경북, 충북, 중국 흑룡강성), 맵쌀(경상, 전남, 평안,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몹-쌀(전남), 모-쌀(전라), 묍-쌀(전북), 메-쌀(제주), 모인-쌀(제주), 모힌-쌀(제주), 매닙-쌀(평북), 매-쌀(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메-입쌀(함북)
- 옛말
- 뫼-
역사 정보
뫼(16세기~17세기)>묍(19세기)>멥쌀(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멥쌀’의 옛말인 ‘뫼’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이 단어는 ㅎ종성체언인 ‘묗’의 이형태 ‘뫼’와 ‘’이 결합한 것이다. ‘뫼’이 ‘묍’이 된 것은 첫째, ‘’의 초성인 어두자음군 ‘ㅄ’[ps]에서 ㅂ이 앞 음절의 종성으로 이동하고, 둘째,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지고 된소리로 바뀌면서 ‘’의 초성이 ‘ㅅ’의 된소리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묍’의 예는 19세기 문헌에 처음 나타나지만, ‘조>좁>좁’이나 ‘>>’의 경우로 미루어 보아 실제로는 ‘뫼>묍>묍’의 변화도 최소한 18세기에는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의 구별이 사라지면서 ‘묍>묍쌀’의 변화가 일어나고 모음 ‘ㅚ’가 ‘ㅔ’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멥쌀’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뫼, 묍, 묍쌀, 멥쌀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