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입ː쌀]
- 품사
- 「명사」
- 「001」멥쌀을 보리쌀 따위의 잡곡이나 찹쌀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해주댁은 입쌀이 한 톨도 안 섞인 조밥을 이렇게 변명했다.≪박완서, 미망≫
역사 정보
니(15세기~18세기)>이(17세기)>입쌀(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입쌀’의 옛말인 ‘니’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니’은 “벼(稻)”의 의미를 갖는 ‘니’와 ‘’이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니’은 두음법칙에 따라 17세기에 ‘이’로도 나타났다. 오늘날의 ‘입쌀’은 ‘이’의 제2음절 ‘’의 ‘ㅂ’이 선행 음절의 종성에 적힌 형태이다. 이는 ‘’의 초성 ‘ㅄ’이 각 ‘ㅂ’과 ‘ㅅ’의 음가를 나타내는 어두자음군이었기 때문이다. 현대 국어 ‘좁쌀’의 ‘ㅂ’ 또한 ‘입쌀’의 ‘ㅂ’과 마찬가지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니, 이, 니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