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반디뿔발음 듣기/반딛뿔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동물』
학명
Luciola cruciata
「002」반딧불잇과의 딱정벌레. 몸의 길이는 1.2~1.8cm이며, 검은색이고 배의 뒤쪽 제2마디에서 제3마디는 연한 황색으로 발광기가 있으며 머리의 뒷부분이 앞가슴 밑에 들어가 있다. 성충은 여름철 물가의 풀밭에서 사는데 밤에 반짝이며 날아다니고 수초에 알을 낳으며 애벌레는 맑은 물에서 산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여름이 되면 어두울 무렵 어디선가 반딧불 한 마리가 희미한 빛을 뿌리며 날아들었다.
적막의 숲에서 어둠의 눈인 듯 반딧불 하나가 날았다.≪한승원, 해일≫

역사 정보

반되블(15세기~16세기)>반도블(18세기)>반듸블(19세기)>반딧불(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반딧불’은 ‘반디’와 ‘불’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반디’는 15세기에 ‘반되’로 쓰였고, ‘불’은 15세기에 ‘블’로 쓰였다. 이 두 단어가 결합한 ‘반되블’이 15세기에서부터 보이며 18세기까지 꾸준히 쓰였다. ‘반디’에 해당하는 ‘반되, 반도, 반, 반듸, 반대’ 등이 사용되었으나 ‘불’이 결합된 ‘반딧불’은 그다지 많이 쓰이지 않았다. ‘반딧불’은 15세기와 16세기에 ‘반되블’의 형태로 쓰이다가 ‘되’가 ‘도’로 변화한 ‘반도블’이 18세기에 쓰였다. 19세기에는 ‘ㅂ’ 아래에서 ‘ㅡ’가 ‘ㅜ’로 변화하는 원순 모음화로 ‘블’이 ‘불’로 바뀌고 ‘반도’도 ‘반듸’의 형태로 바뀌어서 ‘반듸불’의 형태로 쓰였다. 현대 국어의 ‘반딧불’은 ‘반듸불’의 ‘듸’가 ‘디’로 단모음화한 후에 사이시옷이 첨가된 형태이다.
이형태/이표기 반되블, 반도블, 반듸불
세기별 용례
15세기 : (반되블)
반되브를 가져 須彌山 로려 야도 ≪1465 원각 상2-3:41ㄱ
16세기 : (반되블)
반되브 울 아래 프 디 몯고 ≪16세기 중엽 이후 백련-동 4ㄴ
18세기 : (반도블)
반도블에  업고 나모게 아지 업고 ≪1777 소아 7ㄴ
19세기 : (반듸불)
반듸불 螢火 ≪1880 한불 300
반듸불 螢火 ≪1895 국한 13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