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올타발음 듣기]
활용
옳아[오라발음 듣기], 옳으니[오르니발음 듣기], 옳소[올쏘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사리에 맞고 바르다.
옳은 판단.
옳은 일.
옳게 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다.
너의 말이 옳으니 너의 말에 따르겠다.
동진이의 말이 옳다.
그의 생각은 옳았다.
대체 이 노릇을 어떻게 해야 옳다는 말이냐?
권창혁 선생의 말씀이 백번 옳아도 따라가긴 당신을 따라갈 테니까 걱정 마세요.≪이병주, 지리산≫
자네의 말이 옳으면 그것을 수렴하고 내 설명이 옳으면 자네가 납득해야 하네.≪황인경, 소설 목민심서≫

관련 어휘

비슷한말
정-하다(正하다)
반대말
그르다
옛말
올다

역사 정보

올다(15세기~18세기)>올흐다(16세기~19세기)>옳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옳다’의 옛말인 ‘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올다’에서 ‘ㆍ’가 탈락하면서 어간이 ‘옳-’로 재구조화 되어 현재의 ‘옳다’로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올다, 올흐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올다))
眞實로 올니다1459 월석 8:95ㄱ
16세기 : ((올다, 올흐다))
그리 샴이 올샷다1518 번소 9:62ㄱ
兄弟 효도로오며 올흐며 샹며 ≪1588 소언 6:86ㄴ
17세기 : ((올다, 올흐다))
소 柔슌히 야 올며 외며 ≪1632 가언 2:8ㄴ
小人이 奉承홈이 곳 올흐니1677 박언 상:53ㄴ
18세기 : ((올다, 올흐다))
老先生의 니심이 올니1721 오륜전비 3:10ㄴ
형의 닐이 올흐니1721 오륜전비 1:4ㄱ
19세기 : ((올흐다))
텬쥬 밧들어 셤겨야 올흐냐1883 진교 6ㄱ

관용구·속담(1)

속담옳은 일을 하면 죽어도 옳은 귀신이 된다
착한 마음씨를 지니고 살면 죽어도 유감됨이 없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마음을 잘 가지면 죽어도 옳은 귀신이 된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