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고을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역사』
「001」조선 시대에, 주(州)ㆍ부(府)ㆍ군(郡)ㆍ현(縣) 등을 두루 이르던 말.

관련 어휘

준말
비슷한말
성읍(城邑)
지역어(방언)
고려(전라)
옛말
고읋, 고옳, 옳

역사 정보

옳(15세기~17세기)/올(16세기~17세기)>고옳(16세기~17세기)/고올(18세기)>고읋(16세기~19세기)/고을(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고을’의 옛말인 ‘옳’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옳’은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나 단독으로 쓰일 때는 끝소리 ‘ㅎ’이 탈락하는 ‘ㅎ종성체언’으로 ‘옳/올’으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16세기 문헌에는 ‘ㅎ’이 완전히 탈락하여 ‘올와’로 나타난 예가 등장하였는데,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형태가 일반화 된 것은 18세기 이후로 보인다. 16세기에는 제1음절 모음 ‘ㆍ’가 제2음절의 원순모음 ‘ㅗ’의 영향을 받아 ‘ㅗ’로 바뀐 ‘고옳’ 형태가 등장하였고, 그 결과 제1음절과 제2음절의 모음이 같아지자 동일한 모음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ㅡ’로 바뀐 ‘고읋’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옳, 올, 고옳, 고올, 고읋, 고을, 고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옳, 올)
아란 히어나 자시어나 올히어나 나라히어나 뷘 수프리어나 ≪1447 석상 9:40ㄱ
다 올 와서 녯 버들 맛나 ≪1481 두시-초 9:17ㄱ
16세기 : (옳, 올, 고옳, 고올, 고읋, 고을, 고)
나 李壽를 都亭 앏 가 딜여 주기고 올 드러가 빗츨 변티 아니야 니오되 ≪1514 속삼 효:3ㄱ
樞河友明이 晉州ㅣ 사미니 領議政 河演 아리라 仁川 올  蘇來山 미틔 사더니 ≪1514 속삼 효:25ㄱ
뎍을 둗거이 며 공경히 아니면 비록 내 올와 힌 니리아 ≪1518 번소 4:5ㄴ
제 아리  그 디에 드러도 각 고올히 아디 몯더니 ≪1518 번소 10:12ㄴ
張氏난 陳州ㅣ 사미니 나히 열네해  고올 잇 孟七保와 婚姻쟈 期約 엿더니 ≪1514 속삼 열:2ㄱ
고을희셔 쥬븟 벼스를 여 ≪1518 이륜-옥 16ㄱ
徐氏 豊基 사미니 思達의 리라  고을 잇 사 都雲奉이 어  마 죽거늘 ≪1514 속삼 열:12ㄱ
幷州 브리신 일 맏조와 가셔 뵈 일쳔 필 받고 ≪1518 번소 9:43ㄱ
17세기 : (옳, 올, 고옳, 고올, 고읋, 고을)
郴州ㅅ 믌애 잇니 通히 뵈 城郭 알피 衡陽ㅅ 올히로다1632 두시-중 1:54ㄴ
나그내 어느 올로 조차 와 오래 셔셔 ≪1632 두시-중 18:16ㄱ
강졍대왕이 그 고올로 그 분묘애 졔라 시고 홍문 셰시니라 ≪1617 동속 열:7ㄴ≫
조시 교동현 사이라 예 고을희 와 도적거 조ㅣ 졀을 디킈여 주그니라 ≪1617 동신속 열1:26ㄴ≫
某ㅣ 다므기 일즙 抵敵디 아니엿니 곳 아모 고을 아모 촌에 사 사 王大戶ㅣ 이셔 證엿니이다 ≪1677 박언 하:54ㄴ
18세기 : (고올, 고읋, 고을)
실이 독실고 공경티 아니면 비록 고올과 히 나니랴 ≪1737 어내 1:15ㄱ
趙氏ㅣ 格야 게 리와 손으로 베혀 머리 가지고 고올애 나아가 죽기 請대 ≪1736 여사 4:16ㄴ
진헤왕 예 의ㅣ 일즉 진병으로 위을 쳐  고올을 어더 도로 위을 주고 ≪1772 사략 2:71ㄴ≫
子ㅣ 샤 十室 고을 반시 忠信이 丘 니 이시려니와 ≪1749 논율 1:55ㄱ
쥰불의 경죠윤이 되야 양 각 고을의 슌력야 죄인을 결단하고 도라온즉 ≪1758 종덕 상:1ㄴ
19세기 : (고읋, 고을)
인황시 형뎨 아홉 사이 화 아홉 고을 읏드미 되니 ≪1832 십구 1:1ㄴ
가졍 을묘에 왜젹이 가흥 고을를 침노거 ≪1880 과화 17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