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거ː진말

- 품사
- 「명사」
- 「001」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것처럼 꾸며 대어 말을 함. 또는 그런 말.
- 터무니없는 거짓말.
- 그는 입에 침도 안 바르고 거짓말을 해 댄다.
- 나는 진찰과 직접 관계가 없을 것 같은 모든 사항을 거짓말로 대답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송사홍 등은 이를 사실대로 고하면 죽음을 당할까 봐 두려워서 거짓말을 꾸며 대답하였다고 한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거짓말이 탄로 나다.
- 그는 밥 먹듯이 거짓말을 한다.
- 자네가 보고 들은 대로 정직하게만 말하면 되네. 거짓말은 조금도 보탤 필요 없어. 사실만 들어도 대단한 교육이 될 테니까.≪홍성원, 육이오≫
- 이 백정 출신의 능구렁이 상사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깨달았다. 이런 놈은 정말을 말할 때보다 거짓말을 말할 때가 더 대답이 유창한 법이었다.≪홍성원, 육이오≫
- 더구나 해방이 된 터에, 남편이 벌여 온 행위가 가져다 줄 어떤 보상을 전혀 기대하지 않았다면 그건 거짓말이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거짓-부렁, 거짓-부렁이, 거짓-부리, 공갈(恐喝), 구라, 껑, 노가리, 망설(妄舌), 망어(妄語), 사언(詐言), 양언(佯言), 와새, 허사(虛辭), 허설(虛說), 허언(虛言)
- 반대말
- 참-말
- 지역어(방언)
- 거지-뿌래이(강원, 경북), 그짓-말(강원, 제주), 거줏-말(경기, 경남), 거저-말(경남), 거젓-말(경남), 벌-말(경남), 가지-말(경북), 가짓-조디(경북), 가짓-쪼디(경북), 거지-말(경북), 거짓-소리(경북, 평안, 황해), 풍(경북), 피새(경북), 필새(경북), 거소리(전남), 거질구(전남), 거짓-갈(전남, 제주), 그닛-말(전남), 거짓-골(전라), 꺼짓-깔(전라), 거릿-말(전북), 그짓-가리(제주), 그짓-갈(제주), 기짓-갈(제주), 기짓-말(제주), 생-그짓말(生그짓말)(제주), 구짓-말(충남), 그즛-말(충남), 허팡-소리(평남), 거접-소리(평북), 거젓-소리(평북), 겁-소리(평북), 겉-소리(평북, 함경), 곁-소리(평안), 허빵-소리(평안), 거젓-부데(함경), 거젓-부데기(함경), 거짓-부떼기(함경), 도삽(함경), 부끼(함경), 부시(함경), 얼레뿌지(함경), 얼리-뿌지(함경), 거짓-부데기(함남), 부기(함남), 부세기(함남), 부시기(함남), 빈-소리(함남), 뿌지(함남), 얼러-뿌지(함남), 얼리(함남), 얼리-뿌데기(함남), 얼리-뿌제(함남), 얼리-뿌제이(함남), 거듯-말(함북), 거줏-부데기(함북), 거즛-부데기(함북), 거짓-부데(함북), 도새비(함북), 도섭(함북), 비끼(함북), 뿌끼(함북), 얼리각지(함북), 초서(함북), 초시(함북), 고짓-말(황해), 쏘곰(황해), 쏘금-말(황해), 헷-말(중앙아시아)
역사 정보
거즛말(15세기~19세기)>거짓말(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거짓말’의 옛말인 ‘거즛말’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거즛말’은 명사 ‘거즛’과 ‘말’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현대 국어와 같은 ‘거짓말’ 형태는 19세기 문헌에 처음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ㅈ, ㅊ 뒤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현상으로 인해 ‘거즛>거짓’의 변화가 일어나고 ‘거즛말’ 역시 ‘거짓말’로 변화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거즛말, 거짓말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7)
- 관용구거짓말을 밥 먹듯 하다
- 거짓말을 자주 하다.
- 그 친구는 평소에 거짓말을 밥 먹듯 하니 믿을 수 없다.
- 관용구거짓말(을) 보태다
- 실지보다 더 보태어 과장해서 말하다.
- 그는 말을 할 때 거짓말을 보태는 습관이 있으니 적당히 새겨들어라.
- 속담거짓말도 잘만 하면 논 닷 마지기보다 낫다
- 거짓말도 경우에 따라서는 처세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사람은 아무쪼록 말을 잘해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거짓말도 잘하면 오려논 닷 마지기보다 낫다’
- 속담거짓말도 잘하면 오려논 닷 마지기보다 낫다
- 거짓말도 경우에 따라서는 처세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사람은 아무쪼록 말을 잘해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거짓말도 잘만 하면 논 닷 마지기보다 낫다’
- 속담거짓말은 도둑놈 될 장본
- 거짓말하는 버릇이 도둑질의 시초라는 말.
- 속담거짓말이 외삼촌보다 낫다
- 거짓말이 경우에 따라서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말.
- 속담거짓말하고 뺨 맞는 것보다 낫다
- 좀 무안하더라도 사실을 사실대로 말해야지 거짓말을 하면 안 된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