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저씨

- 품사
- 「명사」
- 「001」부모와 같은 항렬에 있는, 아버지의 친형제를 제외한 남자를 이르는 말.
- 저분은 우리 집 오촌 당숙이시니 네가 아저씨라고 불러야 한다.
- 저 어른이 네게 아저씨뻘 되는 어른이시다.≪홍명희, 임꺽정≫
- 아버지는 아저씨 장가갈 때 쓸 것이라고 이것저것 준비하고 있는 모양이던데 장가는 언제 갈 것입니까?≪이병주, 행복어 사전≫
- 어떤 회사에서 김 선생이 과장이 되면 과장님이라고 부르듯이, 아저씨나 삼촌이 장가를 들면 서방님이 되는 것은 아직도 변하기 않은 우리네 습관인 것이다.≪강신항·정양완, 어느 가정의 예의범절≫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아주머니
역사 정보
아자비(15세기~19세기)>아자씨(19세기)>아저씨(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저씨’의 옛말인 ‘아자비’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자비’는 “작은, 다음”이라는 뜻을 나타내면서 친족 호칭에서 직계가 아닌 방계를 가리키는 ‘앚’에 ‘아비’가 결합된 것이다. ‘아자븨’, ‘아자’는 ‘아자비’의 속격형인데 ‘아비’의 속격형이 ‘아븨, 아’로 나타나는 것과 같다. ‘아자비’가 ‘아비’로 나타나는 것은 ‘ㆍ’의 음가 소실에 따라 ‘ㆍ’를 ‘ㅏ’로 표기하기도 하지만 ‘ㆍ’가 아닌 것을 ‘ㆍ’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19세기에 나타나는 ‘아’는 ‘아비’가 ‘ㅣ’ 모음 역행 동화를 겪어 ‘아비’가 되고 ‘비’가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아자씨’는 19세기에 처음 보인다. ‘아저씨’는 20세기 들어 나타난다. ‘아자비’는 친족 호칭어이자 지칭어였는데 현재는 친족이 아닌 남자 어른을 부르거나 가리킬 때에도 쓰이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어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아자바님, 아바님, 아자비, 아자, 아자븨, 아비, 아븨, 아잡이, 아버이, 아자버니, 아자씨, 아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아저씨 못난 것 조카 장짐 지운다
- 조금 높은 자리에 있다고 아랫사람을 되지 못하게 마구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