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저씨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부모와 같은 항렬에 있는, 아버지의 친형제를 제외한 남자를 이르는 말.
저분은 우리 집 오촌 당숙이시니 네가 아저씨라고 불러야 한다.
저 어른이 네게 아저씨뻘 되는 어른이시다.≪홍명희, 임꺽정≫
아버지는 아저씨 장가갈 때 쓸 것이라고 이것저것 준비하고 있는 모양이던데 장가는 언제 갈 것입니까?≪이병주, 행복어 사전≫
어떤 회사에서 김 선생이 과장이 되면 과장님이라고 부르듯이, 아저씨나 삼촌이 장가를 들면 서방님이 되는 것은 아직도 변하기 않은 우리네 습관인 것이다.≪강신항·정양완, 어느 가정의 예의범절≫

역사 정보

아자비(15세기~19세기)>아자씨(19세기)>아저씨(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저씨’의 옛말인 ‘아자비’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자비’는 “작은, 다음”이라는 뜻을 나타내면서 친족 호칭에서 직계가 아닌 방계를 가리키는 ‘앚’에 ‘아비’가 결합된 것이다. ‘아자븨’, ‘아자’는 ‘아자비’의 속격형인데 ‘아비’의 속격형이 ‘아븨, 아’로 나타나는 것과 같다. ‘아자비’가 ‘아비’로 나타나는 것은 ‘ㆍ’의 음가 소실에 따라 ‘ㆍ’를 ‘ㅏ’로 표기하기도 하지만 ‘ㆍ’가 아닌 것을 ‘ㆍ’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19세기에 나타나는 ‘아’는 ‘아비’가 ‘ㅣ’ 모음 역행 동화를 겪어 ‘아비’가 되고 ‘비’가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아자씨’는 19세기에 처음 보인다. ‘아저씨’는 20세기 들어 나타난다.
‘아자비’는 친족 호칭어이자 지칭어였는데 현재는 친족이 아닌 남자 어른을 부르거나 가리킬 때에도 쓰이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어 쓰이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아자바님, 아바님, 아자비, 아자, 아자븨, 아비, 아븨, 아잡이, 아버이, 아자버니, 아자씨, 아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자바님, 아자비, 아자븨))
東山애도 가시며 아자바긔도 가샤 ≪1447 석상 3:6ㄴ≫
열닐구분 아자비와 尊長 恭敬 아니호미니 ≪1459 월석 23:2ㄱ
게으른 아자븨 네 부러 서르 携持홈 기들우믈 아니라 ≪1481 두시-초 8:51ㄴ
16세기 : ((아바님, 아자비, 아자븨))
아바님1510년대 번노 하:3ㄴ-4ㄱ
아자비 슉 ≪1576 신합 상:20ㄱ
아 아자븨겨집 ≪1510년대 번노 하:33ㄴ-35ㄱ
17세기 : ((아자비, 아자븨, 아자, 아잡이, 아비, 아븨, 아버이))
아자비 효양 나 바애 즈음 업시 더니 ≪1617 동신속 효5:40ㄴ≫
아자븨 주그미 젼일 지아븨 주금과 디라 ≪1617 동신속 열8:14ㄴ≫
우리 아자 政治ㅣ 이 니 ≪1632 두시-중 12:31ㄴ
아잡이 졸연히 현혼증을 어더 ≪1617 동신속 효8:41ㄴ≫
伯伯 同姓 아비1690 역해 상:56ㄴ
伯娘 同姓 아븨 쳐 ≪1690 역해 상:56ㄴ
三寸 아버이 내 父母와  사의게로셔 나겨시니 ≪1658 경민-개 6ㄱ
18세기 : ((아자비, 아자, 아자븨, 아비, 아븨))
신의 아자비 권집을 뵈여 오되 ≪1756 천의 3:16ㄱ
홀로 세 아자게 은혜 더으디 아니케 시니잇고 ≪1737 어내 2:43ㄴ
伯母  아자븨 쳐 ≪1778 방유 신부:13ㄱ
아비1795 노언-중 하:32ㄴ
아븨 쳐 ≪1795 노언-중 하:32ㄴ
19세기 : ((아자비, 아자버니, 아자씨, 아비, 아))
아자비숙 叔 ≪1895 국한 202
아자버니 叔父 ≪1880 한불 11
아자씨 叔父 ≪1880 한불 11
아비 강권여 ≪1852 태상 4:31ㄴ
이 나의 아라1852 태상 1:33ㄴ

관용구·속담(1)

속담아저씨 못난 것 조카 장짐 지운다
조금 높은 자리에 있다고 아랫사람을 되지 못하게 마구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