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재비]
품사
「명사」
「001」아저씨’의 낮춤말.
서얼에다 손아래인 주제에 촌수 따져 아재비 노릇 하려는 것도 꼴 사나왔거니와….≪박완서, 미망≫

역사 정보

아잡(15세기~17세기)>아자비(15세기~19세기)>아재비(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재비’의 옛말 ‘아잡’과 ‘아자비’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잡’은 단독형으로는 나타나지 않고 관형격 조사 ‘의’가 통합된 ‘아자븨’의 형태로 나타나며(주격 조사가 통합되어 있는지 불분명한 ‘아자비’는 나타난다) 17세기까지 이어진다. ‘아잡’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아자비’ 역시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나타난다. ‘ㅏ’가 소실된 ‘ㆍ’의 음가와 혼동되면서 ‘ㅏ’ 표기의 혼란이 생기게 되는데 ‘아자비’ 역시 18세기부터는 ‘아비’로도 표기된다. ‘ㆍ’는 ‘ㅡ’와도 표기의 혼란을 보이는데 이 현상과 ‘ㅂ’ 뒤에서의 ‘ㅣ’가 ‘ㅟ’로 바뀌는 현상으로 인하여 ‘아비’는 ‘아즈뷔’로도 나타나게 된다. ‘아자비’는 ‘ㅣ’ 앞에서 앞 음절의 모음이 전설 모음으로 동화되는 현상에 의하여 20세기에 ‘아재비’로 나타나게 되고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아잡, 아자비, 아비, 아즈뷔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잡, 아자비))
녜브터 疎拙고 게으른 아자븨 네 부러 서르 携持홈 기들우믈 아니라 ≪1481 두시-초 8:51ㄴ
열여스슨 婆羅門 恭敬 아니호미오 열닐구분 아자비와 尊長 恭敬 아니호미니 엇뎨어뇨 란 ≪1459 월석 23:2ㄱ
16세기 : ((아자비))
曹氏ㅅ 가문이 다 죽거 令女의 아자비 언여 ≪1518 번소 9:60ㄴ
伯   叔 아자비 슉 ≪1575 천자-광 15ㄴ
17세기 : ((아잡, 아자비))
님시 오 아자븨 주그미 젼일 지아븨 주금과 디라 ≪1617 동신속 열8:14ㄴ≫
아잡이 졸연히 현혼증을 어더 ≪1617 동신속 효8:41ㄴ≫
아자비 효양 나 바애 즈음 업시 더니 ≪1617 동신속 효5:40ㄴ≫
18세기 : ((아자비, 아비))
建初元年애 모 아자비 封爵려커 ≪1737 어내 2:40ㄴ
왕봉은 왕망의 아비니 한  역적이오 냥긔 한 역적이라 ≪1777 명의 2:41ㄴ
19세기 : ((아자비, 아비, 아즈뷔))
문왕의 아이오 무왕의 아오 이졔 왕의 아자비나1832 십구 1:82ㄱ
길이 져의 집을 지지라 그 아비 강권여 부 쥬죵간의 과 혼인니 ≪1852 태상 4:31ㄴ
내 조츤 뉴들의게 무로니 황뎨 아즈뷔 부인이라 애 ≪1774 삼역 2:17ㄴ

관용구·속담(1)

속담아재비 한 것만큼 따라 한다
남이 하지 않은 일을 처음으로 하는 것이 어렵지 남이 이미 해 놓은 것을 따라 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