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우름

- 품사
- 「명사」
- 「001」우는 일. 또는 그런 소리.
- 울음을 그치다.
- 울음을 울다.
- 그녀는 슬픔에 복받쳐 울음을 터뜨렸다.
- 그녀는 갑자기 울음 섞인 목소리로 푸념을 늘어놓았다.
- 한동안 숲 사이의 앙상한 가지 사이로 넘나들며 재잘거리던 굴뚝새의 울음도 끊겨 버렸다.≪김원일, 불의 제전≫
- 처음에는 몇몇 학생의 억지 울음으로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울음은 급격히 전체 학생에게 전파되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 그러나 이미 그의 울음은 친구의 가슴에 파묻기 알맞게 겸허해져 있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감역댁은 울음을 그쳐 보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 같았으나 도무지 울음을 걷잡지 못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 귀녀에 대한 꿈도 희망도 다 사라진 것을 깨달은 강 포수는 제 가슴에 주먹질을 하며 처량한 울음과 같은 소리로 중얼거리는 것이었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우룸(15세기~19세기)>울음(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울음’의 옛말 ‘우룸’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우룸’은 동사 ‘울-’에 명사형 어미 ‘-움’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활용형이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우룸’은 17세기까지 나타난다. 한편 ‘우룸’의 분철 표기 ‘울움’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나타난다. 제2음절에 ‘우’가 탈락하고 근대 이후에 명사형 어미가 ‘-(으)ㅁ’만 남게 되는 변화와 관련하여 17세기부터는 ‘울음’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울음’은 18세기에 보이는 ‘우름’의 이표기로 볼 수 있다. ‘우름’은 19세기까지 나타난다. 20세기 이후에는 분철 표기인 ‘울음’이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우룸, 울움, 우름, 울음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관용구울음에 젖다
- (비유적으로) 울면서 말하다.
- 그는 아픈 기억을 더듬어 내는 부분에 이르러서는 말 반 울음 반으로 울음에 젖다가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 관용구울음을 삼키다[깨물다]
- 울음을 억지로 참다.
- 선생님의 꾸중으로 울음이 북받쳤으나 창피한 마음에 울음을 삼켰다.
- 그녀는 남편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자식들 앞에서는 울음을 깨물려고 했으나 결국 참지 못하고 오열을 터뜨렸다.
- 속담울음 큰 새라
- 울음만 컸지 볼품없는 새라는 뜻으로, 명성은 자자하나 실제로는 보잘것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