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오늘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지금의 시대.
오늘의 경제 발전.
저에게 오늘이 있기까지는 여러 사람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벌거숭이 야산에 천막을 쳐 놓고 있는 곽 씨란 사람은 오늘에 있어서 누구보다도 불행한 사람임에 틀림없었다.≪박태순, 무너지는 산≫
당신은 그렇게 성공했었고 구질구질한 감정을 차디차게 잘라 버리면서 당신은 오늘을 만들었을 것이다.≪최인훈, 회색인≫
어쩐지 그 사건이나 그 인물이 없었다면 오늘의 나는 없을 것 같다.≪지명관, 인간에 관한 단장≫
오늘이 없이 지난날을 아쉬워하며 살아가는 사람은 더욱 어리석다.≪유주현, 대한 제국≫
사실 선생과 저 사이에 이루어진 이 정도의 교환도 오늘의 남북 관계에서는 매우 이례적이고 특이한 것이 아니겠습니까.≪이호철, 문≫
두일의 주변을 아무리 뒤져도 이만큼 그를 아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한 것들이 오늘을 가능하게 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두 사람은 함께 했다.≪한수산, 유민≫

역사 정보

오(15세기~19세기)>오늘(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오늘’의 옛말인 ‘오’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가 ‘ㅡ’로 바뀌었는데, 이에 따라 ‘오>오늘’의 변화가 일어났다(16세기 문헌의 ‘오늘ㄹ’은 중철 표기된 것이다). 한편 18세기~19세기 문헌에는 ‘오날’ 형태도 나타나는데, 이는 근대국어 시기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진 현상을 반영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오, 오늘, 오늘ㄹ, 오날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오)
北道애 보내어시 글로 말이 가샴 겨샤매 오 다리가 ≪1447 용가 26
祥瑞도 하시며 光明도 하시나  업스실 오 몯 뇌 ≪1447 월곡 10ㄱ
열두  그리다가 오 드르샨  아바님이 니시니다 ≪1447 월곡 42ㄱ
내 부텨와 야 母子 왼 後로 즐거미 오 니 업다 ≪1447 석상 11:2ㄴ
夫人이 前世옛 因緣으로 나 조차 살어든 오 리고 가릴  슬허 우노다 ≪1459 월석 8:93ㄱ
16세기 : (오, 오늘ㄹ)
도마 우희 도틔 고기 사라 가라 이 오 주긴 됴 됴틔 고기라 ≪1510년대 번노 상:20ㄴ
그디내 그저 겨시더니 오늘리 졈그니 가 쉬어샤 ≪1518 이륜-옥 47ㄱ
17세기 : (오)
셤이 로 오 이 주글 이라 ≪1617 동신속 충1:56ㄴ≫
오바 반기 셔방의 냇노라 ≪1637 권념 23ㄱ
오도 다 새거다 호믜 메고 가쟈라 ≪1658 경민-개 40ㄴ
18세기 : (오, 오늘, 오날)
오 天氣 됴흔디라 美景良辰을 져리디 말려 니 ≪1721 오륜전비 1:3ㄱ
오늘날 兵을 은 亂을 禁호미이니 만일 사의 겨집을 寡케 며 삼의 식을 孤케 면 ≪1737 어내 2:79ㄱ
오늘 黃村에 가 자고 일 임의셔 게셔 上墳고 밥 먹고 도라와 늣게야 城에 드러오고 ≪1765 박신 2:02ㄴ
셩의 마리 게 면 이 너희 범 거시 아니라 내 너희 법의 지온 거시니 오날 니지 아니고 ≪1762 어경 6ㄴ
풀 긋 이슬 튼 목숨이 아의 잇가 나죄 주그며 오날 잇가 일 죽 거슬 쳔년 만년이나 살가야 셰간탐심 니 ≪1776 염보-해 21ㄴ
19세기 : (오, 오늘, 오날)
예수ㅣ 샤 오밤  두 번 울기 젼에 너ㅣ 반시 나 세 번 반리라 ≪1865 주년 65ㄱ
누른 조희의 글을 쎠 품고호 오늘날 본집에 남여와 쇠 피고 긔헐쥴 아지 못며 능히 졍결치 못야 ≪1881 조군 24ㄴ
홀연 드르니 창 밧긔셔 불너 왈 오날밤의 고 여 밥을 신 고 명년의 장원을 나 아들을 으리라 거 ≪1852 태상 1:20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