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깍따발음 듣기]
활용
깎아[까까발음 듣기], 깎으니[까끄니발음 듣기], 깎는[깡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칼 따위로 물건의 거죽이나 표면을 얇게 벗겨 내다.
사과를 깎다.
껍질을 깎다.
봉순이는 들고 온 보자기 속에서 깎은 날밤을 꺼내어 오독오독 씹는다.≪박경리, 토지≫
비록 판잣집이긴 해도 주춧돌과 토방에 놓인 댓돌, 그리고 장독대는 모두 미끈하고 모서리 반듯하게 깎아 다듬은 돌로 만들어져 있었다.≪이문구, 장한몽≫
나무에 칼질을 하여 만든다 해도 이렇게 정교하게 깎고 다듬어 새길 수가 없을 듯싶었다.≪문순태, 피아골≫
주머니칼로 깎고 문지르고 다듬고 하는 손길은 조심스럽고 섬세해 보인다.≪박경리, 토지≫
산꼭대기까지 꾸불꾸불 찻길을 내고 산을 층층다리 식으로 깎기 시작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빗면으로 깎은 구멍 뚫린 대꼬챙이로 쌀가마를 쑤시면 그 구멍으로 쌀이 흘러내렸다.≪김원일, 노을≫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다(17세기~19세기)>깎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깎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갓-’으로, 그 외의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17세기에는 어간 끝소리가 ‘ㅺ’에서 ‘ㄲ’으로 바뀌고 어두 된소리화를 겪은 ‘다’가 등장하였다. ‘다’는 된소리를 ‘ㅅ’계 합용병서로 표기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현대 국어의 ‘깎다’와 소리는 동일하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네 다 轉輪聖王이 외야 七寶千子 가져 四天下 다리리어늘 엇뎨 마리 갓고 즐기다 ≪1447 석상3:23ㄱ≫
손 머리 갓고 묏고래 이셔 道理 더니 ≪1447 석상 6:12ㄱ
16세기 : (다)
머리 빗긴  다 낫 돈이오 머리 갓근  두 낫 돈이오 ≪1510년대 번박 52ㄱ
갓 산 削 갓 샥 ≪1576 신유 하:43ㄱ≫
 아기 싯기기 고 머리 갓고 아기 다가 고지예 엿니라 ≪1510년대 번박 56ㄱ
17세기 : (다, 다)
머리 갓가 승이 되야 일 삭망애 친히 스스로 졔 야 ≪1617 동신열 1:37ㄴ≫
그제아 아 싯기고 머리 갓고 아다가 搖車에 올리니라 ≪1677 박언 상:50ㄱ-ㄴ
몬져 드 칼흐로 주근 굽  톱을 가 리고 그 약을 굽에 고 ≪17세기 마언 하:69ㄱ≫
아다가  머리 고 뎡박이 고 그 날 老娘의게  샹니 ≪1677 박언 상:51ㄱ
剃頭的 마리  이 ≪1690 역해 상:30ㄱ
18세기 : (다, 다)
졈은 겨집을 이긔여 어더 와 인여 마리 갓가 出家야  師姑 삼앗이다 ≪1721 오륜전비 5:22ㄱ
마리 근 後에 오래디 아녀셔  젹이 葷 먹기 홧이다 ≪1721 오륜전비 5:23ㄱ
마리 빗 갑슨 다 낫 돈이오 마리  갑슨 열 낫 돈이오 ≪1765 박신 1:50ㄴ
글 쟉 斫 ≪1781 왜해 하:17ㄴ
19세기 : (갂다, 다)
털 각그문 세 잇 연고라 ≪1887 성전
당히 글 거 고 당히 보 거 보니 ≪1883 이언 서:2ㄴ

다중 매체 정보(1)

  • 깎다
    깎다

    깎다

관용구·속담(1)

관용구깎은 밤 같다
젊은 남자가 말쑥하고 단정하게 차려입은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