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서지다

- 활용
- 부서지어[부서지어



- 품사
- 「동사」
- 「001」단단한 물체가 깨어져 여러 조각이 나다.
- 돌이 부서지다.
- 유리가 부서지다.
- 뼈가 부서지다.
- 나는 손을 손수건으로 문지르며 발길로 사내의 어깨를 건드려 그 얼굴을 보았다. 안경이 부서져 나가고 코는 깨져 코피가 흐르고 있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나는 그들의 주먹에 의해서 학교 건물이 기왓장 부서져 나가듯 깨어지는 환영을 보았다.≪최인호, 무서운 복수≫
- 끼가 내릴 적마다 비석은 돌가루를 뿌리면서 부서져 나갔다.≪황순원, 카인의 후예≫
- 술잔을 부서져라 꽉 잡는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바서-지다
- 지역어(방언)
- 빠까-지다(강원), 뿌가-지다(강원), 뿌서-지다(강원, 경북), 뿌사-지다(경상), 뽀사-지다(전남), 뿌숙어-지다(전남), 보닥타라-지다(전라), 부스라-지다(평안), 오자꿍이-되다(평안), 마사-지다(함남), 옥처이-되다(함북), 옥시가-지다(황해)
역사 정보
어디다(15세기)>븟어디다(15세기~17세기)>부서지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서지다’의 옛말인 ‘어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어디다’는 ‘부수다’의 옛말인 동사 ‘브-’에 연결어미 ‘-어’, 동사 ‘디다’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에 ‘브다’는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ㅇ-’으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으므로 연결어미 ‘-어’와 결합하여 ‘어디다’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16세기 이후로 ‘ㅿ’이 사라지면서 대개는 ‘ㅿ>ㅇ’으로 변화하였으나, ‘브다’의 경우는 ‘ㅿ>ㅅ’으로 변화하여 ‘*브스다’로 변화하였고 ‘어디다’ 역시 ‘*브서디다’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부터 현대 국어와 같은 ‘부서지다’ 형태가 등장하는데, 이는 근대국어 시기에 ‘*브서디다’가 원순모음화와 ㄷ구개음화를 겪은 결과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양순음 ‘ㅂ’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모음화에 의해 ‘*브서디다>*부서디다’로 변화하고, ‘ㅣ’ 모음 앞에서 ‘ㄷ’이 ‘ㅈ’으로 변하는 ㄷ구개음화 현상에 따라 ‘*부서디다>부서지다’로 변한 것이다. 한편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브어디다’는 ‘어디다’에서 ‘ㅿ>ㅇ’의 변화를 겪은 형태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어디다, 븟어디다, 브어디다, 부서지다, 부셔지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부서진 갓모자가 되었다
- 사람이 남에게 꾸지람을 듣고 무안을 당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