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바서지다]
- 활용
- 바서지어[바서지어/바서지여](바서져[바서저]), 바서지니[바서지니]
- 품사
- 「동사」
- 「001」조금 단단한 물체가 깨어져 여러 조각이 나다.
- 망극하신 은혜를 생각하오면 뼈다귀가 바서지는 한이 있기로서니 제가 어찌 피하오리까마는….≪박종화, 금삼의 피≫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아디다(15세기)>아디다(15세기~17세기)>바사지다(19세기)>바서지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바서지다’의 옛말인 ‘어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디다’는 ‘바수다’의 옛말인 동사 ‘-’에 연결어미 ‘-어’ 동사 ‘디다’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에 ‘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ㅇ-’으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으므로 연결어미 ‘-어’와 결합하여 ‘아디다’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16세기 이후로 ‘ㅿ’이 사라지면서 대개는 ‘ㅿ>ㅇ’으로 변화하였으나, ‘다’의 경우는 ‘ㅿ>ㅅ’으로 변화하여 ‘*스다’로 변화하고 ‘아디다’ 역시 ‘*사디다’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에는 ‘바사지다’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근대국어 시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뀌는 현상과 ‘ㅣ’ 모음 앞에서 ‘ㄷ’이 ‘ㅈ’이 되는 ㄷ구개음화 현상에 따라 ‘*사디다>바사지다’로 변화한 것이다. 또한 19세기 문헌에는 ‘바셔지다’의 예도 보이는데, 이는 ‘바사지다’에서 제2음절의 양성모음 ‘ㅏ’가 음성모음 ‘ㅓ’로 바뀐 ‘바서지다’ 형태가 이미 이 시기에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이 시기에는 자음 ‘ㅅ’ 뒤에서 이중모음 ㅑ, ㅕ, ㅛ, ㅠ가 ㅏ, ㅓ, ㅗ, ㅜ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의식하여 표기에 혼란이 일어나 ‘바서지다’가 ‘바셔지다’로 표기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한편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아디다, 아지다’는 ‘아디다’에서 ‘ㅿ>ㅇ’의 변화를 겪은 형태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아디다, 아디다, 아디다, 지다, 아지다, 바사지다, 바셔지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